140년 전, 베트남의 설날을 기록한 프랑스 군의관

by Vyvy posted Feb 16,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 '북기 작전(chiến dịch Bắc Kỳ)' 사진: MC/ZNEWS
책 '북기 전투 (chiến dịch Bắc Kỳ)' 사진: MC/ZNEWS

프랑스 군의관 샤를 에두아르 호카르(Charles-Édouard Hocquard)는 자신의 책, 북베트남의 전투 즉 북기전투에서(chiến dịch Bắc Kỳ, 1884-1886)에서  병술년 개의 해(1886)의 설날을 생생하게 그린 바 있다. 프랑스의 베트남 점령으로 당시 프랑스는 베트남의 북·중·남을 북기(北圻), 중기(中圻), 남기(南圻)로 분할 통치했다. 

수세기 전, 베트남에서 활동하던 많은 서양 선교사들과 상인들은 베트남의 설날 풍습과 의례를 목격하고 이를 기록했다.

예를 들어 알렉산드로 드 로드(Alexandre de Rhodes)의 ‘북왕국 역사’와 영국 상인 새뮤얼 바론(Samuel Baron)의 ‘북왕국의 묘사’에서는 베트남 중세와 전근대 시대인 레-찡 시대(1428~1787)의 설날 관례와 풍습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폴 오리(Paul Ory)는 그의 책 ‘북부 안남인(Villages of the Northern Annamites)이라는 책에서 근대 19세기 마을 공동체의 설날 관습과 의례를 다루고 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선교사와 상인들의 기록과는 달리, 샤를 에두아르 호카르 군의관은 훼(Huế) 자금성 안에서 베트남 백성들과 새해를 맞이하는 실제 경험을 했다. 1886년, 호카르는 북베트남과의 전투 시기 동안 베트남 구정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려냈다.

호카르에 따르면, 새해가 가까워지면 부유하든, 가난하든 거의 모든 사람들이 설을 맞이하기 위해 한 달 동안 일을 중단하고 음식과 여가를 즐긴다. 또한, 물건을 팔거나 밭일을 하지 않고 어른과 아이들은 모두 명절 옷을 입는다. 

12월 25일부터 궁정도 문을 닫고 어떠한 공문서 서류에도 서명하지 않는다. 새해 열한 번째 날까지 인장도 사용되지 않는다.

모든 문이 닫혀 조용하다. 주민들과 관리들은 예복을 입고 서로를 방문하며 붉은 색 봉투와 선물을 주고 받는다. 어린이들은 어른들께 새해 인사를 한후 붉은 봉투에 새배돈을 받는다.

모든 곳은  붉은 색으로 물든다. 붉은 색은 이 즐거움의 상징이다. 집집마다 커다란 대나무 가지가 땅에 꽂혀 있다(꺼이네우). 어떤 집은 기둥에 닭털을 묶어놓거나 야자수를 사용하기도 한다. 온갖 색색의 등불들이 밤까지 걸려있다.

민속 신앙에 따르면, 매년 설날에 조상과 가족의 영혼이 집으로 돌아온다고 한다. 이렇게 나뭇가지를 심는 것은 영혼이 자신의 집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사람들은 집집마다 문앞에 분필같은 것으로 땅에 화살이 달린 활을 그려 부처님과 악마의 싸움을 붙힌다. 어떤 사람들은 구정 기간 동안 악령이 집에 들어와 그들을 괴롭히는 것을 막기 위해 선인장과 가시나무 가지를 사용하여 집 문을 완전히 덮는다. 문 밖의 왼쪽 벽에는 사람들이 작은 제단을 만들어 문지기 삼아 향을 피우고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꽃과 과일,  음식을 바친다. 

집 내부는 깨끗하게 정돈되어 있다. 우물의 신을 기리기 위해 마당 한가운데에 꽃과 종이를 매달아 둔다. 사람들은 서로에게 나쁜 말을 삼가한다.

설날 동안 풍성한 음식들로 가득하며 베트남 사람들은 매일 세끼를 먹는다. 항상 조상들께 제사를 지내고 세 부얶신을 위해 부엌에 향을 피워둔다.

요컨데 1886년 베트남의 새해에 대한 호카르의 기록을 통해 일부 습관이 아직 정확하게 기록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들면 구정기간동안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 등이다. 

호카르 씨는 문화가 다른 유럽 국가 출신이기 때문에 이것은 당연한 일이다. 한편, 그에게 원주민의 문화와 습관을 깊이 이해할 시간이 충분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의 이러한 기록은 140년 전 베트남 구정의 풍습을 보여주기에 충분했다.

 

출처:https://www.asean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5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