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동차 소비가 감소하고 동남아 5위까지 하락한 데에는 대내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업계 관계자들은 전했다.
▲ 북부 닌빈성에 위치한 탄꽁그룹 공장의 생산라인
동남아시아자동차제조협회(AAF)는 인도네시아가 2023년 100만대 이상으로 자동차 판매 1위를 차지했다고 발표했는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 감소한 수치다. 말레이시아는 2022년 대비 10.9% 증가한 79만9731대로 2위를 차지했으며, 태국은 2022년 대비 8.7% 감소한 77만5780대로 3위를 차지했다. 필리핀은 2022년 대비 21.9% 증가한 42만9807대로 4위, 베트남은 2022년 대비 25.4% 감소한 30만1989대로 5위로 떨어졌다. 싱가포르와 미얀마가 3만8670대, 3천357대로 뒤를 이었다.
베트남자동차제조협회(VAMA)에 따르면 2023년에는 3개 자동차 부문 모두 급격히 감소했다. 전년 동기 대비 승용차는 27%, 상용차는 16%, 특수차량은 56% 감소했다. 구체적으로 현지 조립 차량은 18만1380대, CBU 차량은 12만,600대가 판매되어 2022년 대비 각각 20%, 32% 감소했다.
이 수치에는 빈패스트(VinFast), 아우디, 재규어, 랜드로버, 닛산, 스바루, 폭스바겐 등 비회원 브랜드의 판매량은 아직 포함되지 않았다. 빈패스트는 현재 베트남 내 월간 판매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는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자동차 산업은 예측 불가능한 경제 상황, 은행 금리 불안정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침체를 겪고 있다. 이러한 요인들은 사람들의 구매력에 영향을 미쳐 자동차 판매 둔화로 이어졌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고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정부는 특정 조치를 시행했다. 이러한 조치 중 하나는 2023년 7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국내에서 생산 및 조립된 자동차에 대한 등록비를 50% 인하했다. 또한 기업은 나머지 50%의 수수료를 지원하거나 제공했다. 수입차에 대해서는 100% 수수료 인센티브를 제공했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시장은 판매량 면에서 큰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
2024년 초에는 설 연휴에 따른 쇼핑 수요 증가로 자동차 구매력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자동차 제조업체가 인센티브와 비즈니스 정책을 조정하여 잠재적으로 판매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몇 달 동안의 미래 구매력은 여전히 불확실하다.
출처:http://www.goodmorningvietnam.co.kr/news/article.html?no=71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