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건설업계와 만나, 부동산PF 연착륙을 위해 지난달 말 발표한 9조 원 규모의 PF 사업자 보증 확대 등을 신속히 시행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김 부위원장은 오늘(4일) 오전 건설사 14곳의 CFO(최고재무관리자)와 한국건설경영협회 등 유관단체 4곳의 관계자를 만나 건설현장의 어려움을 듣고, 지원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김 부위원장은 “건설업은 약 200만 개의 일자리와 국내총생산(GDP)의 5.7%를 담당하는 한국 경제의 버팀목”이라며 “(현재는) 전세계적인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으로 건설업계의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이어 “특히 부동산PF는 건설과 금융이 상호연계되는 영역으로, 고물가·고금리 부담이 건설업계는 물론 금융시스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건설업계와 금융권 간 협력과 함께 정부의 세심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PF 사업장 지원에 속도를 내겠다는 뜻도 전했습니다.
김 부위원장은 “금융위는 2022년 하반기부터 ‘50조 원+a 시장 안정조치’를 마련한 이후, 기획재정부·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이나 건설경기 보완 방안 등 추가 조치를 통해 현재 85조 원+a 규모로 금융지원을 확대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지난 3월 27일 대통령 주재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발표한 9조 원 규모의 PF 사업자 보증 확대, 비주택PF 사업자 보증을 빠르게 시행·공급하고, 8조 원 규모의 건설사 관련 금융지원도 적극 집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정부는 주택도시보증공사와 한국주택금융공사의 PF 사업자 보증을 기존 25조 원에서 30조 원으로 확대하고, 건설공제조합의 비주택 PF 사업자 보증 4조 원도 신설하는 등 금융지원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이 밖에도 금융위는 PF 대주단 협약 개정, 금융기관의 PF 사업성 평가기준 개선 검토 등 부실사업장의 재구조화를 촉진하며 부동산 PF 시장 정상화도 지원할 방침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금융위원회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93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