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우리나라의 대외금융자산보다 부채가 더 줄면서 대외 지급 능력을 반영하는 순대외금융자산이 증가했습니다.
단기외채비율과 단기외채비중은 2분기 연속 하락하는 등 대외건전성 지표는 개선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22일) 발표한 '2023년 3분기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기준 우리나라의 대외금융자산은 2조 2,043억 달러로 전분기 말 대비 208억 달러 감소했습니다.
해외 직접투자가 지분투자를 중심으로 전분기말 대비 11억 달러 감소했고 글로벌 주가 하락과 미 달러화 대비 주요국 통화가치 하락 등으로 증권투자도 69억 달러 감소했습니다.
외국인의 국내 투자를 뜻하는 대외 금융부채는 1조 4,189억 달러로 전분기 말 대비 422억 달러 감소했습니다.
외국인의 직접투자는 채무상품을 중심으로 전분기말 대비 19억 달러 감소했고, 증권투자도 국내 주가 하락과 미 달러화 대비 원화가치 하락 등으로 전분기말 대비 367억 달러 줄었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대외지급 능력을 반영하는 순대외금융자산은 7,854억 달러로 전분기 말보다 214억 달러 증가했습니다.
3분기 말 기준 우리나라의 대외채권은 1조 20억 달러로 전분기말 대비 169억 달러 감소했습니다.
단기 대외채권은 중앙은행의 준비자산(-73억 달러)과 예금취급기관의 대출금(-47억 달러) 등을 중심으로 감소했고, 장기 대외채권은 기타 부문의 부채성 증권(-39억 달러)이 감소했습니다.
부문별로 보면 예금취급기관(-97억 달러)과 중앙은행(-73억 달러), 기타부문(-24억 달러)은 감소한 반면 일반정부는 26억 달러 증가했습니다.
3분기말 대외채무는 6,493억 달러로 단기 외채가 크게 줄면서 전분기보다 157억 달러 감소했습니다.
한은은 외국인의 단기 부채성 증권 투자 감소와 예금 취급기관의 현금 및 예금 감소 등에 따라 단기외채가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예금 취급기관의 현금 예금 감소 가운데 상당 부분은 이란의 국내동결 자금 회수 영향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단기외채비율은 3분기말 34.2%로 전분기말 대비 4.2%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직전인 2019년 4/4분기(33.1%) 이후 최저치입니다.
단기외채비율은 올해 1분기말 40.8%에서 2분기말 38.4%, 3분기말 34.2%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외채 건전성을 나타내는 단기외채비중은 3분기말 기준 21.8%로, 1994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직전까지 최저치는 1998년 3분기 말 23.1%였습니다.
유복근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국외투자통계팀장은 "우리나라의 대외건전성은 대외지급능력이 제고되고 단기외채비율은 하락했으며 채 만기 구조도 장기화됐다는 점에서 대체로 양호하다고 판단됐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다만 향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장기화 가능성 등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큰 만큼 대내외 거시경제 및 외환 상황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유 팀장은 또 "이번에 순대외금융자산이 증가했는데 환율이나 국내외 주가 영향 등 비거래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예단할 수는 없지만 경상수지 흑자 기조가 지속 된다면 앞으로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238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