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들의 경기가 21개월 연속 부진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습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12월 BSI 전망치는 94.0을 기록했다고 오늘(23일) 밝혔습니다.
BSI 전망치는 기준선 100보다 높으면 전월보다 경기 전망이 긍정적, 100보다 낮으면 부정적이라는 의미입니다.
12월 BSI 전망치는 11월 대비 3.9포인트 올랐지만, 작년 4월(99.1)부터 21개월 연속 기준선인 100을 밑돌고 있습니다.
21개월 연속 부정적 전망이 나온 것은 2018년 6월부터 33개월 부정적 전망이 이어진 이후 가장 긴 기간입니다.
이번 달 BSI 실적치 역시 89.2로 기준선을 밑돌며 작년 2월(91.5)부터 22개월 연속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2월 BSI 전망치는 업종별로 명암이 엇갈렸습니다.
제조업(87.7)은 지난해 4월(94.8)부터 21개월 연속 기준선을 밑돌며 부정적인 업황 전망이 이어졌습니다.
반면 비제조업(100.5)은 휴가철 특수가 기대되는 여가·숙박 및 외식업(128.6)을 중심으로 전망이 밝았습니다.
여름 휴가철인 지난 7월(101.6) 이후 5개월 만에 기준선을 넘은 것입니다.
제조업을 10개 세부 업종으로 구분하면 일반·정밀기계 및 장비(110.5)만 호조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기준선에 걸친 목재·가구 및 종이를 제외한 의약품(60.0), 섬유·의복(71.4), 석유정제·화학(80.6) 등 8개 업종은 부진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비제조업 7개 세부 업종에서는 여가·숙박 및 외식을 비롯해 정보통신(111.8), 전기·가스·수도(105.6)의 업황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도소매, 운수 및 창고 등 2개 업종은 기준선에 걸쳤으며, 전문, 과학·기술 및 사업지원 서비스(92.9), 건설(88.1) 등 나머지 2개 업종은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12월 조사 부문별 BSI는 모든 부문에서 부정적 전망을 나타냈습니다.
투자 91.6, 자금 사정 92.7, 채산성 93.0, 수출 94.9, 고용 95.7, 내수 96.7, 재고 104.1 등으로 작년 10월부터 15개월 연속 부정적 전망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재고는 100을 넘으면 ‘재고 과잉’으로 부정적 전망을 의미합니다.
추광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생산·소비·투자 등 실물 경기가 반등 기미를 보이고 있으나, 제조업 가동률(9월 73.2%)이 여전히 작년 평균 수준(74.8%)을 밑도는 등 기업들이 경기회복을 체감할만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적극적인 내수·수출 촉진책으로 우리 경제의 강한 턴어라운드(개선)를 유도하는 한편, 산업 생태계를 붕괴시킬 수 있는 노조법 제2, 3조 개정안(일명 노란봉투법)의 전면 재검토로 기업 심리를 드높일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출처: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246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