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동향에 따른 우리의 대응은?

by HươngLy posted Nov 28,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앵커


GP 내 북한군 동향과 관련해 우리 군도 상응 조치를 할 방침을 밝혔습니다.

다만, 우리 측 GP까지 복원하는 등 맞불 대응이 아닌 전방에서의 감시 활동을 강화하는 수준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보도에 김덕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군은 우선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정찰·수색 활동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북의 GP 복원에 상응 조치를 하겠다는 겁니다.

김명수 합참의장은 "신뢰를 깨고 있는 것은 북한"이라며, "태세 유지를 위한 기본 조치를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또, 우리 GP 복원에 대한 질문에 김 의장은 "우리 군도 대응하는 수준으로 간다"며 순차적인 대응 변화를 강조했습니다.

북의 일방적인 조치에도 불구하고 남북 간의 군사적 갈등 국면 조성에 대한 부담감으로 풀이됩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당장 우리 측 GP까지 복원하는 식의 맞대응은 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파괴된 우리 측 GP 복원을 위해서는 정부가 북한처럼 9.19 군사합의 완전 파기 수순을 밟거나 유엔사와의 정식 협의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입니다.

GP가 위치한 지역은 정전 협정에 따라 유엔사 관할이어서 병력이 복귀하려면 유엔사의 사전 승인이 필요합니다.

[정성장/세종연구소 통일전략연구실장 : "우리가 독자적으로 GP에 병력과 장비를 다시 투입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봅니다. 유엔사의 동의 하에서만 진행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와 관련해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경기도 평택 한미연합군사령부를 방문해 북한의 비무장 지대 내 GP 복원 조치를 경고하는 등 연합방위태세를 점검했습니다.

KBS 뉴스 김덕훈입니다.

촬영기자:최재혁/영상편집:이윤진/그래픽:고석훈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28053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