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선·이용객 감소”…6년새 버스터미널 30곳 사라져

by HươngLy posted Dec 04,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앵커


지방 소멸 위기 속에 한때 붐볐던 버스 터미널들이 점차 사라지고 있습니다.

특히, 농촌 지역의 경우 시외버스를 대체할 만한 다른 교통수단이 없어 주민들은 말 그대로 발이 묶일 처지에 놓였습니다.

보도에 윤소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사람들로 붐벼야 할 오후 시간대지만, 시외버스 대합실 내부는 썰렁하기만 합니다.

버스 배차 시간표는 흰색 종이로 가져진 부분이 더 많습니다.

현재 이 터미널에서 운행하는 노선은 동서울과 청주 등 단 세 개뿐입니다.

4년 전만 해도 경기와 경북 등을 오가는 6개 노선이 있었지만 코로나19 이후 반 토막이 났습니다.

이용객도 줄어 지난해에만 2천만 원의 적자가 발생했습니다.

[터미널 운영 관계자 : "적금 들어서 모아놓은 돈을 지금 쓰고 있는 거예요. 많이 힘들 거 아니에요, 생각이."]

농촌 지역의 이 버스터미널은 경영난을 이기지 못하고 2년 전 결국, 폐업했습니다.

자치단체가 나서 매달 임대료 백만 원을 내고 텅 빈 터미널을 근근이 정류장으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정류장 이용객 : "썰렁하고 너무 힘들어. 화장실도 말도 못 해. 이렇게 추운데, 춥지만 않으면 조금 기다렸다가 타고 가면 되는데."]

시외버스 노선이 사라지면 불편은 오롯이 버스 이용객, 지역 주민의 몫으로 남습니다.

특히 농촌 지역은 시내 버스 등 다른 대중교통도 부족해 먼 거리를 돌아가거나 추가 비용을 부담해야 합니다.

[터미널 이용객 : "없어지면 아마 저쪽에 버스가 따로 있거든요? 그거 타고 음성이나 다른 데 가서 시외버스를 타야 하지 않을까."]

전국 버스터미널 296곳 가운데 최근 6년간 폐업한 터미널은 모두 30곳.

버스터미널들이 하나둘씩 문을 닫으면서 대다수가 고령층인 농촌 지역 주민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소영입니다.

촬영기자:김장헌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32530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