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니까” 늘어나는 ‘주류 직구’, 꼼꼼히 따지지 않으면 오히려 손해

by HươngLy posted Dec 06,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앵커


최근 와인과 위스키 등 주류를 해외에서 직접 구입하는 사람들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하지만 주류 직구는 내야하는 세금과 배송비 정보를 정확히 알지 못하면 싸게 사려다 오히려 큰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연말을 앞두고 주류 직구를 계획하신 분들은 꼼꼼히 따져보고 사셔야겠습니다.

이광열 기자입니다.
 

리포트


자영업자 김희준 씨는 좋은 위스키를 조금이나마 싸게 사려 해외 직구 대행사이트를 이용했다 낭패를 봤습니다.

[김희준/주류 해외 직구 피해자 : "국내 가격을 알아보고 일본에서 구매하는 게 좀더 저렴하기 때문에 구매를 했는데 실질적으로는 세금이 더 많이 나오게 돼가지고 제가 가격이 국내 가격보다 더 비싸게 책정되게 됐어요."]

주류의 해외 직구 시장 규모는 최근 4년 사이 13배 가까이 커지는 등 해마다 확대되고 있습니다.

정식 수입된 술보다 저렴하기 때문인데, 막연히 싸다고 직구를 하기 보다는 잘 따져봐야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영국산 위스키의 경우 현지 판매 사이트에서는 국내 마트의 반도 안 되는 값이지만 배송비와 세금이 더해지면 최종 구매가가 6만 5천 원이나 더 비싸집니다.

[이후정/팀장/한국소비자원 국제거래지원팀 : "특히 세금은 쇼핑몰에서 확인하기 어렵고 제품이 국내에 도착한 후 따로 청구되므로 상품을 구매하기 전에 세금이 얼마인지 소비자가 직접 확인해야 합니다."]

FTA에 따른 세금 차이도 잘 따져봐야 합니다.

원산지와 쇼핑몰이 같은 FTA 체결 국가인 경우, 그러니까 유럽산 와인을 유럽 쇼핑몰에서 구매할 경우에는 관세를 면제받아 여러 병을 구매할 때 국내에서보다 훨씬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유럽산 와인 여러 병을 미국에서 구매하려다간 세금 폭탄을 맞을 수도 있습니다.

배송 중 파손이나 누수, 변질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점도 해외 직구 시 주의해야 할 부분입니다.

KBS 뉴스 이광열입니다.

촬영기자:노동수/영상편집:양다운/그래픽:채상우 박미주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34847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