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소 “상장사 지배구조 지표 준수율 소폭↑…배당정책 개선 더뎌”

by HươngLy posted Dec 07,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올해 자산총액 1조 원 이상인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의 지배구조 핵심지표 준수율이 62.3%로, 지난해(60.7%)보다 소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거래소는 오늘(7일) '2023년 기업지배구조보고서 공시 점검 및 분석 결과 발표' 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히며 최근 ESG에 대한 사회, 경제적 관심이 높아진 상황에서 기업의 지배구조 중요성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진 데 따른 영향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자산 1조 원~2조 원 사이 기업이 보고서를 의무적으로 제출한 지 2년 차에 접어들었지만, 여전히 핵심지표 준수율에 있어 자산 2조 원 이상 기업과 17%p 이상 차이를 보여 보다 적극적인 지배구조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지배구조보고서 기재충실도는 전년 대비 소폭 하락했는데, 자산 2조 원 이상 기업들은 충실도가 개선된 반면 자산 1조 원~2조 원 기업의 경우 악화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거래소는 외국인 지분율이 높은 기업일수록, 최대주주 지분율이 낮은 기업일수록 기재충실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지속 되고 있다며 외국인 투자자나 비지배주주들(소액주주 등)의 관여가 높을수록 지배구조 공시 투명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고 밝혔습니다.

전자투표 시행이나 주주총회 분산개최 등 주주의 참여와 의결권을 보장하기 위한 노력으로 주주 분야 관련 지표 준수율이 상승했으나 일부 항목은 여전히 개선이 더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예를 들어 주주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주총 4주 전 소집을 공고한 기업은 32.7%에 그쳤습니다.

한국형 후진 문화, 이른바 '코리아 디스카운트' 요인 중 하나로 지적되는 배당과 관련해 주주에게 중장기 배당정책을 공개하는데도 여전히 소극적(46.5%)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사회 분야에서는 집중투표제 채택(3.5%)과 이사회 의장과 대표이사 분리(19.5%) 등이 경영 안정성과 관련된 지표로 인식돼 상대적으로 준수율이 낮았습니다.

또 명문화된 '최고경영자 승계정책'을 마련한 기업은 40.9%에 그쳐 1년 전보다 6.4%p 상승하긴 했지만 여전히 미흡한 수준으로 추가적인 노력이 요구된다고 거래소는 밝혔습니다.

코스피 상장 기업의 77.4%(246사)는 감사위원회를 설치, 운영하고 있고 이 가운데 96.7%는 감사위원회 전원을 사외이사로 구성하고 있어 전년 대비 대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거래소는 내년부터 자산총액 5천억 원 이상 상장기업으로 의무공시대상이 확대되는 것에 대비하여 맞춤형 교육과 지원에 나설 계획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36233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