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증가에 ‘급발진 의심’도 증가…‘(Ⓟ) 버튼’ 잊지마세요

by HươngLy posted Dec 09,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앵커


전기차 등록 대수가 50만 대를 넘었습니다.

다만, 화재라든지 급발진 의심 사고도 증가하면서 운전자 안전에 비상등이 켜졌는데요.

자신이 의도하지 않은 급가속 상황이 벌어진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오대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불법 유턴하던 차량에 부딪힌 전기차 택시, 속도가 순식간에 시속 188km까지 치솟습니다.

["(브레이크 잡아요. 안돼요?) 안 돼, 안 돼. (이미) 브레이크 잡았어."]

기사와 승객은 '차량 급발진'을 의심하는데 전기차를 포함한 급발진 의심 사례는 해마다 4백 건에 달합니다.

이처럼 의도하지 않은 급가속 상황이 벌어지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실험했습니다.

브레이크 페달이 안 된다는 가정 아래 화면 왼쪽은 'EPB'라고 부르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켰고 오른쪽은 시동을 꺼 봤습니다.

시속 100km로 달리던 차량이 EPB를 작동했을 땐 100m를 간 뒤 멈췄는데 시동을 끄는 경우엔 50m를 더 움직인 후 멈췄습니다.

EPB와 달리 주행 중에 시동을 끄는 방식은 버튼을 여러 번 눌러야 하는 데 그러는 사이 차가 더 움직인 겁니다.

["시동 끄는 건 효과적이진 않습니다."]

EPB는 주로 전기차에 설치돼 있는데, 기계식인 사이드 브레이크와 비슷한 역할을 합니다.

저는 지금 시속 50km 정도로 달리고 있는데요 EPB만 작동시켜 보겠습니다.

차량이 약 5초 정도 만에 완전히 멈춰 섰습니다.

비상시에 효과적이지만 제작사나 차종별로 설치 위치가 제각각이라 사용자 매뉴얼을 보고 미리 알아둬야 합니다.

[박기옥/한국교통안전공단 중대사고조사처 연구위원 : "운전석을 정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운전하다 보면 물병 같은 것들은 굴러다니기도 하고요. 코너링을 하다 보면 (가속)페달 쪽에 끼일 수도 있습니다."]

다만, EPB는 브레이크 페달보다는 제동력이 약한 만큼 비상시에만 사용하고, 사용 뒤에는 차량 점검을 받는 게 좋습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촬영기자:김재현/영상편집:한찬의/그래픽:채상우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37749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