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대신 동거”…2030, 동거 긍정 40% 넘어

by HươngLy posted Dec 15,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30대 청년들이 결혼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커지는 반면 동거에 대한 인식은 개선돼, 40% 이상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거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은 이러한 내용이 담긴 ‘한국의 사회동향 2023’을 오늘(15일) 발표했습니다.

■남자보단 여자가 결혼에 대해 ‘부정적’

이삼십대 청년에 대한 조사에서 결혼에 대해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긍정적인 응답이 점점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남성보다 여성이, 30대보다 20대에서 결혼에 대해 부정적으로 느끼고 있었습니다.

‘결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 혹은 ‘하는 것이 좋다’고 응답한 사람들의 비율이 30대 남성은 48.7%, 20대 남성은 41.9%로 집계됐습니다.

각각 2008년 69.7%, 71.9% 수준이었던 긍정적인 인식이 크게 줄어든 겁니다.

같은 응답을 한 30대 여성은 31.8%, 20대 여성은 27.5%로 집계됐습니다.

2008년엔 각각 51.5%, 52.9%가 결혼에 긍정적인 인식이 있던 거로 나타났습니다.

사람들이 결혼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결혼자금 부족’이 가장 많으며, 이러한 응답은 중장년층보다 청년층에서 더 높았습니다.

■결혼 대신 동거…결혼해도 무자녀

20~30대에서 동거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2015년 25.9%에서 2020년 40.6%로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독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39.1%에서 47.7%로 늘었습니다.

무자녀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같은 기간 27.7%에서 44.1%로 증가했고, 비혼 출산에 대한 긍정적 인식도 11.1%에서 20.6%로 늘었습니다.

이러한 비혼·비출생을 반영하듯 19~34세 청년의 가구 유형 중 부모와 동거하는 미혼청년가구가 59.7%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청년독거가구(25.4%), 청년부부가구(8.1%), 청년과 자녀가구(6.8%)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42862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