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최근 결핵 환자 수가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결핵은 진단 시기를 놓치면 치명적인데, 고령층이 특히 위험해 정기적인 검진이 필요합니다.
이세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결핵은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50% 이상이 사망할 정도로 치명적인 감염병입니다.
흔히들 가난했던 시절의 질병으로 여기지만 지금도 해마다 2만 명 넘는 환자가 나옵니다.
11년 연속 줄어들던 결핵 환자 수는 올 3분기 소폭 늘어나기도 했습니다.
[이경인/결핵연구원장 : "코로나19 방역 조치가 완화되면서 대면 모임이 증가하고, 의료 접근성이 회복되면서 미처 발견되지 못했던 결핵 환자들이 증가한 것일 수 있습니다."]
결핵균은 몸속에 잠복해있다가 신체의 면역력이 떨어지면 발병합니다.
이 때문에 상대적으로 면역력이 약한 고령층이 더욱 취약합니다.
실제로, 지난해 결핵 환자의 절반 이상이 65살 이상이었습니다.
2020년부터 3년간 결핵으로 인한 사망자 역시 열 명 가운데 여덟 명이 65살 이상 고령층이었습니다.
원인을 알 수 없는 기침이 2주 넘게 계속되거나 피가 섞인 가래가 나오면 결핵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조영수/서울시 서북병원 흉부내과 전문의 : "감기 증상이 한 달 이상, 두세 달 계속됐는데 안 낫는다고 병원에 오는 경우들이 많습니다. 검사를 하다 보면 (증세가)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특히, 고령층에선 기침과 발열 등 결핵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진단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잦습니다.
[엄중식/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 : "노인분들의 경우에는 (결핵의) 전형적인 증상이 안 나타나고, 매우 느리고 천천히 진행하는 폐렴 형태로 나타나면서 결핵이 진단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결핵을 피하려면 평소 건강관리는 물론 선제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65살 이상이라면 관할 보건소에서 1년에 한 번 무료 검진을 받을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이세흠입니다.
영상편집:양다운/그래픽:이근희 노경일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43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