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마다 ‘슈퍼 개미’ 물량 털기…올해는?

by HươngLy posted Dec 20,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앵커


우리 주식 시장에선 해마다 연말이면 반복되는 일이 있습니다.

주식을 많이 보유한 이른바 '큰손' 개미 투자자들이 특정 날짜를 기준으로 주식을 팔았다가 며칠 뒤 되사들이는 건데요.

이러는 이유는 주식 매매 차익에 양도세가 부과되는 대상, 즉 대주주 기준을 그날 보유한 주식 물량에 따라 따지기 때문입니다.

올해도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대주주 기준을 바꿔 달라며 투자자들이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먼저 황경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예순 살 조인옥 씨는 주식 거래로 소득을 올립니다.

시장 움직임에 민감하다보니, 연말마다 불안해진다고 얘기합니다.

주식을 많이 보유한 이른바 '큰손 개미'들의 매도 물량에 주가가 휘청인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조인옥/주식 투자자 : "12월 되면 주가가 빠지잖아요. 그 사람들이 운용하는 규모가 크니까 매도를 한단 말입니다. 그럼 그런 사람 때문에 천만 원, 백만 원 투자한 사람들도 손해를 보는 거예요. 주가가 떨어지니까."]

매년 마지막 거래일 이틀 전을 기준으로 한 종목당 시가총액 10억 원 이상 보유하면 대주주가 됩니다.

대주주는 일반 소액 투자자와 달리 매매 차익의 최소 20% 이상 양도세를 내야 합니다.

그래서 딱 이 날짜 전에 10억 원 아래까지 주식을 팔려는 움직임이 뚜렷합니다.

최근 3년간 기록을 봐도 기준일 직전 무렵 코스피에서만 매년 1조에서 2조 안팎의 순매도가 나타났습니다.

그리곤 곧 비슷한 규모로 다시 사들입니다.

대주주를 피해가야 하는 투자자는 쓸데없이 거래세 등 비용을 지불하는 데다 투자 안정성도 해친다는 점이 불만입니다.

[조재천/'대주주' 요건 투자자 : "(저는) 장기 투자하는 사람이기 때문에요. 연말만 되면 아주 지겹습니다. 성장하는 기업에 투자해서 이익을 나누는 미래의 꿈을 꾸고 있는데…"]

올해 대주주 기준일은 이달 26일, 투자자들은 그 전까지 대주주 기준이 완화되면 연말 주가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황경주입니다.

촬영기자:김형준/영상편집:박은주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46317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