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비 절감 후속 대책…3만 원대 요금제는 아직도 논의중?

by HươngLy posted Dec 23,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앵커


지난달, 정부가 발표한 통신비 인하 대책, 통신사 정책 변경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었는데, 정부가 추가 조치를 내놨습니다.

KT와 LG유플러스 이용자도 최신 단말기로 LTE 요금제에 가입할 수 있게 됐습니다.

다만, 3만 원대 5G 요금제 출시는 해를 넘기게 됐습니다.

황정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달 초 출시된 80만 원대 중저가 스마트폰입니다.

매달 2천 원씩 내고 2년 정도 사용하다 반납하면 단말기 가격의 절반을 돌려받습니다.

[박승기/서울 은평구 : "가격도 가격인데 일단 성능도 좀 좋게 나온 것 같고 용량도 256 기가(바이트) 이상으로 나왔고..."]

이보다 싼 40만 원대 스마트폰이 나오기도 했는데, 내년에는 이런 중저가 스마트폰이 최대 4종류 더 출시될 예정입니다.

5G 폰은 5G 요금제만 가입할 수 있도록 한 제한도 모두 풀렸습니다.

SK텔레콤에 이어 KT와 LG유플러스는 요금제 가입 제한을 해제하기로 했습니다.

전산 방식의 차이가 있어 KT는 곧바로, LG유플러스는 내년 1월부터 가능합니다.

지금까진 요금제 가입 제한으로 최신 폰 구매 시 비싼 5G 요금제만 쓸 수 있어, 소비자의 선택권을 침해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왔습니다.

다만, 정부가 발표한 핵심 대책 중 하나인 5G 요금제 최저 구간을 3만 원대로 낮추는 방안은 여전히 통신사와 협의 중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내년 초 출시가 목표라고 밝혔습니다.

[황동현/한성대 교수/소비자주권시민회의 집행위원장 : "소비자가 느끼는 속도나 뭐 이런 쪽은 큰 차이가 없지 않습니까? 그래서 저희가 요금 인하에 대해서 주장을 하는 거고..."]

내년 3월 말부터 개통 때 1년 약정을 선택한 가입자에게 추가로 1년 약정 연장을 예약할 수 있는 '선택약정 25% 요금 할인 사전 예약제'도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또 내년 2월부터 재난으로 주거지가 심각하게 파손됐다면 인터넷, 유선전화, TV 서비스를 위약금 없이 해지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됐습니다.

KBS 뉴스 황정호입니다.

촬영기자:송혜성/영상편집:박주연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48483


Articles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