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품 팔아 1억 기부 약속한 선생님…“나눔 동참했으면”

by HươngLy posted Dec 26,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앵커


올해 1인당 평균 기부액이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후 처음으로 줄었습니다.

개인의 '소액 나눔' 실천이 여느 때보다 귀해진 요즘인데요.

30여 년 동안 폐지를 모아 마련한 돈으로 꾸준히 기부를 실천해 온 교장 선생님이, 나눔의 가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김우준 기자가 만나고 왔습니다.
 

리포트


바쁘게 자전거 페달을 밟는 75살 김종태 씨.

첫 번째 목적지인 미용실에 도착하자, 익숙한 듯 모아둔 폐지를 건넵니다.

골목 상인들은 김 씨를 '폐지 줍는 교장 선생님'으로 부릅니다.

30년 넘게 폐지를 모아 판 돈으로 기부를 실천하고 있어서입니다.

[배점수/식당 주인 : "(기부) 이야기가 차차 되다(퍼지다) 보니까... 교장 선생님, 퇴직하신 분이라 내가 마음이 가서 더 모아주게 됐어요."]

나눔의 시작은 김 씨가 교직에 있던 1990년.

[김종태/대구시 진천동 : "(가르치던) 학생이 3층에서 떨어졌습니다. 그런데 그 아이가 다행히 하나도 안 다치고 생생하게 살아서 저는 이 하늘이 저를 도왔다. 그래서 내가 힘이 닿는 데까지 조금 큰 돈은 아니지만 이거(기부)를 해야겠다."]

기부는 퇴직 후에도 이어졌고, 액수도 5천만 원을 넘었습니다.

최근엔 1억 원 기부도 약정했습니다.

[김종태/대구시 진천동 : "여력이 되면 더 이렇게 모아서 남을 돕는 일을 하고 싶습니다. 사람들이 더 동참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김 씨처럼 1억 원 기부를 약정한 '고액 기부자'는 올해까지 3,299명으로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반면, 국민 1인당 평균 기부액은 2011년 통계작성 이래 처음으로 감소했습니다.

취약계층에 연탄을 배달하는 복지단체에도 올해는 기부가 30%쯤 줄었습니다.

역대급 한파와 불경기로 '나눔의 손길'이 더 절실해진 올 겨울.

개인의 '소액 나눔'이 귀한 온기를 전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김우준입니다.

촬영기자:홍병국/영상편집:최정연/그래픽:김성일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50461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