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극장은 경영난, 배우는 생활고…“공연 건수는 늘지만 매출은 줄어”

by HươngLy posted Dec 26,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앵커


연말을 맞아 대형 공연들에 관객들이 몰리는 반면 소극장이나 작은 규모의 공연들은 여전히 상황이 좋지 못합니다.

공연 횟수라도 늘려야 간신히 적자를 면할 수 있는 정도고 스타가 아닌 일반 배우들은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지만 지원은 전무한 상태입니다.

김상협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신인 마술사가 공연을 앞두고 연습에 한창입니다.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공연이라 적자만 내고 있지만 공연을 매일 하고 싶은 게 꿈입니다.

[이준형/마술사 : "어디서 투자받거나 이런 게 아니라 둘이서 만들어 가는 공연이다 보니까 수익을 내기가 쉽지 않고, 또 작은 공연이기 때문에 홍보하는 것도 좀 어려워요."]

어렵게 공연을 올려도 흥행이 잘 되는 경우가 많지 않아 소극장도 사정이 힘든 건 마찬가집니다.

간신히 뜬 공연이 인기를 얻기 시작하면 건물주가 임대료를 올리기 때문에 수익을 내는 건 하늘의 별 따 깁니다.

[정성모/소극장 대표 : "공연이 잘되면 극장이 잘되는 게 아니라 건물주의 임대료가 올라가니까 임대료 내다 보면, 배우들 월급 주다 보면 사실은 극장주도 어려워지고..."]

소극장과 중극장의 공연 건수는 전체의 4분의 3이나 차지하지만, 티켓 판매액은 1,000석 이상의 대극장이 70% 이상입니다.

소극장은 비용이 들더라도 무대에 공연을 자주 올려야 그나마 이익을 낼 수 있다는 얘깁니다.

흥행이 잘되는 대형 공연이더라도 모든 스텝과 배우들에게 혜택이 돌아가긴 쉽지 않습니다.

데뷔 기회를 잡는 것도 어렵지만 캐스팅 전까지 오랜 시간 무명 생활을 감내해야 합니다.

[정아연/뮤지컬 단역 배우 : "(자취하고) 부업하면서 생활비 벌면서 오디션 (공고) 올라오는 것들 확인하고 그거에 맞춰서 연습실 빌리고, 연습하고..."]

K-컬처의 근원지라고 할 수 있는 예술 창작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선 근본적으로 장기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원종원/순천향대 뮤지컬학과 교수 : "보다 경쟁력 있는 우리의 창작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서는 이들이 연습하고 숙련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단계별 시장을 구축하고 그 단계별 시장에 맞게 지원과 지지를 해 줘야..."]

하지만 정부의 문화 관련 예산 지원은 여전히 인색하기만 합니다.

당장 내년만 해도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사업 400억 원을 비롯해 독립예술영화 제작지원 47억여 원 등 관련 예산이 줄줄이 삭감됐습니다.

KBS 뉴스 김상협입니다.

촬영기자:이재섭/영상편집:양다운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50495


Articles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