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봄 공백·부족한 인프라…“디지털 기술로 골고루”

by HươngLy posted Dec 28,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앵커


4차산업혁명 기술의 혜택을 농어촌까지 확대해 지역균형을 돕는 정부의 '스마트빌리지' 사업이 있습니다.

지역 여건에 맞춰 다양한 디지털 기술이 활용되고 있는데, 경기도에선 성남시가 구도심과 신도시 간 격차를 줄이고 아동 돌봄 교육의 질을 높이는데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박은주 기자입니다.
 

리포트


초등학교 1~2 학년 아이들이 TV 화면 앞에 모여있습니다.

하교 후 돌봄센터에서 화상으로 도서관 수업을 받는 겁니다.

["자, TV에서나 책에서나 오로라 본 적 있어요?"]

그림책을 읽고 독후 활동까지 하는데, 아이들 집중도가 높습니다.

대부분 맞벌이가정 자녀들로 평일 도서관 방문이 힘들다 보니 이런 '디지털 방과 후 프로그램' 덕분에 돌봄의 다양성과 질이 높아졌습니다.

[최소영/성남시 판교대장초 학교돌봄센터장 : "아이들이 좀 오랜 시간을 우리 센터에서 머물다 보니까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필요한데 이렇게 연계를 해주니까 자리에 앉아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주민 복지와 생활 여건을 개선하는 이른바 '스마트빌리지' 사업.

당초 도시와 농어촌 간 지역 균형을 위해 도입됐지만, 도심 내 공공인프라 격차 해소에도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습니다.

분당신도시에 비해 공공도서관 수가 절반에 불과한 구도심의 이 도서관은 부족한 인프라를 AR 기술로 보완했습니다.

동화내용을 체험하는 가상공간을 운영 중인데 아이들은 책에 더 흥미를 갖고 도서관을 더 친근하게 여기게 됐습니다.

[김주현/중원 어린이도서관 팀장 : "정보통신 기술이나 스마트 기기에 대한 접할 수 있는, 체험 기회를 더 제공하고 더 나아가 독서율 증진에 (도움이 되는) 적극적인 프로그램 운영을 통하여…"]

성남시는 앞으로 경로당과 아동복지시설에서 로봇을 활용한 돌봄 및 교육서비스에도 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박은주입니다.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52646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