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 크는 주사’ 처방 증가…이상사례 보고도 5년간 5배↑

by HươngLy posted Jan 28,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일명 ‘키 크는 주사’로 불리는 성장호르몬 주사 처방 건수가 늘고 있는 가운데, 이상 사례 보고도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성장호르몬 주사 처방 건수는 19만 1건으로, 2018년의 5만 5,075건보다 3.5배 증가했습니다.

2018년부터 지난해 6월까지는 성장 호르몬 주사제가 69만 5,503건 처방됐습니다.

이중 상급종합병원 처방 건수가 49.5%(34만 4,193건)로 가장 많았고, 종합병원 35.5%(24만 6,624건), 병원급 10.2%(7만 1,089건), 의원급 4.8%(3만 3,597건) 순이었습니다.

의원급 처방 건수는 가장 적었지만, 2018년 1,641건에서 2022년 1만 871건으로 6.6배로 늘었습니다.

연령별로는 10~14세 처방이 55.1% (38만 3,331건)로 가장 많았고. 5~9세 40.0% (27만 8,355건), 15~19세 2.7% (1만 8,883건), 5세 미만 2.1% (1만 4,934건)이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의 처방 건수는 전체 27.7%(19만 2,497건)로 가장 많았고, 경기 18.7%(13만 234건), 대구 13.8%(9만 6,127건)가 뒤를 이었습니다.

처방 건수가 늘면서 성장 호르몬 주사와 관련한 이상 사례 보고 건수도 증가했습니다.

신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2018년 320건이던 보고 건수는 2022년 1,604건으로 5배로 늘었습니다.

2018년부터 2023년 9월까지 보고된 이상 사례는 총 5,368건입니다.

이상 사례로는 ‘전신 장애 및 주사 부위 출혈·통증’, ‘두통·어지러움 등 신경계 장애’, ‘구토·상복부 통증·오심 등 위장관 장애’, ‘두드러기·가려움증·발진 등 피부조직 장애’ 등이 주로 보고됐습니다.

다만, 식약처는 이러한 부작용과 성장 호르몬 주사제와 인과관계가 확인된 것은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76920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