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6년 만에 베트남행…미국 보란 듯 “우린 운명공동체”

by HươngLy posted Jan 30,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앵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6년여 만에 베트남을 국빈 방문해 철도 노선 확장 등 선물 보따리를 안겨줬습니다.

양국 관계를 '운명 공동체'로 격상시켰는데, 최근 베트남과 밀착 행보를 보이는 미국을 견제하려는 포석으로 풀이됩니다.

베이징 김효신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6년여 만에 베트남을 국빈 방문했습니다.

중국과 베트남 정상은 기존의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바탕으로 '운명 공동체'를 건설하는 데 합의했습니다.

[시진핑/중국 국가 주석 :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심화시키는 토대 위에, 전략적 의미를 지닌 중·베트남 '운명 공동체' 구축을 위해 협력할 것입니다."]

시 주석이 2012년 처음 언급한 '인류 운명 공동체' 개념은 미국에 맞서 중국 중심의 세력권을 형성하겠다는 의도가 담겨 있습니다.

시 주석은 이번 방문에서 외교와 철도, 통신 분야 등에서 30여 건의 협정을 맺으며 베트남에 선물 보따리를 안겼습니다.

다만 남중국해 난사군도 부근 영유권 분쟁은 중국과 베트남 양국이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아 있습니다.

[응 우엔 푸 쫑/베트남 공산당 서기장 : "(시 주석의 방문이) 양국 간의 관계를 한 차원 높이는 역사적인 이정표가 될 것입니다."]

시 주석의 베트남 방문은 미국을 견제하기 위한 성격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지난 9월에는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베트남을 방문해 양국 관계를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격상시켰습니다.

또 희토류 자원 개발을 강화하고 우리 돈 117억 원 규모의 군수물자를 베트남에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베트남은 미국과 중국에 이어 세계 3대 희토류 생산 국갑니다.

미-중 양국의 인도 태평양 지역 패권 경쟁에서 베트남은 전략적 중심지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김효신입니다.

촬영기자:이창준/영상편집:김인수/자료조사:이은결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41408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