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순대외금융자산 85억 달러 증가…단기외채 비중 역대 최저

by Vyvy posted Feb 27,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우리 국민의 해외 주식 투자 등이 증가하며 대외금융자산이 크게 늘고, 대외금융부채 증가는 낮은 수준에 머물면서 대외 지급 능력을 반영하는 순대외금융자산이 증가했습니다.

단기외채 비중은 2020년 말 이후 3년 연속 하락하며 통계 작성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27일) 발표한 '2023년 국제투자대조표(잠정)' 자료를 보면 지난해 말 우리나라의 순대외금융자산은 7,799억 달러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85억 달러 증가했습니다.

순대외금융자산은 3년 연속 늘며 역대 최대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대외금융자산은 거주자의 해외 증권투자를 중심으로 전년 말 대비 1,184억 달러 증가한 2조 2,871억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거주자의 해외증권투자는 주식투자가 지속되는 가운데 채권투자가 확대한 데다 글로벌 주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규모가 증가했습니다.

대외금융부채는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를 중심으로 전년 말 대비 1,099억 달러 늘어난 1조 5,072억 달러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말 대외채무는 6,636억 달러로 전년 말 대비 16억 달러 감소했습니다.

장기외채(+287억 달러)가 늘었으나 단기외채(-303억 달러)가 더 크게 감소한 영향입니다.

부문별로 보면 예금취급기관(-262억 달러)과 중앙은행(-34억 달러)은 감소한 반면 일반 정부(+151억 달러)와 기타 부문(+129억 달러)은 증가했습니다.

단기외채 비율(32.4%)과 단기외채 비중(20.5%)은 전년 말 대비 각각 6.9%p, 4.5%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단기외채 비중은 2020년 말 29.1%를 기록한 뒤 3년 연속 하락하며 통계를 작성한 1994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한은은 예금취급 기관의 차입금과 현금·예금(부채) 감소, 외국인의 단기 부채성 증권 투자 축소 등에 따라 단기외채가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한국은행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출처: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900127


Articles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