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새 빚은 두배나 껑충, 소득은 7% 감소’…20대가 제일 힘들다

by HươngLy posted Dec 16,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앵커


경기가 가라앉으면서 많이들 힘들다고 하지만, 연령대별로는 어느 계층이 가장 힘들까요?

어제 나온 통계청 사회동향조사는, 우리 20대 청년들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뚜렷하게 힘들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김원장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20대가 진 빚이 빠르게 늘더니, 1인당 평균 5천만 원을 넘어섰습니다.

4년 새 배로 늘어난 것입니다.

같은 기간 20대의 소득은 7%나 줄었습니다.

60대 이상은 소득이 22%나 늘어나는 등 모든 연령대 소득이 늘었는데, 유독 20대만 소득이 쪼그라들었습니다.

[20대 신혼부부/음성변조 : "(집을 사면서) 처음에 냈을 때 이자가 58만 원 정도였어요. 지금은 109만 원 정도거든요. 저희 집 앞에 편의점이 있는데, 주말 아르바이트를 구해요. 저기라도 가야 하나..."]

이런 어려움을 나타내듯, 20대의 제2금융권 대출액은 26조 원을 넘어 1년새 17%나 늘었습니다.

또 학자금 대출을 갚지 못하는 청년들도 4년 만에 7배나 급증했습니다.

원인으로는 먼저 일자리가 꼽힙니다.

실업률은 최저 수준이고 취업자 수가 33개월째 늘고 있는데, 유독 20대 취업자는 지난달에도 4만 명 이상 줄었습니다.

주식이나 코인, 부동산에 젊은이들이 이른바 '영끌 투자'를 하면서 손실을 보거나 이자 부담이 높아진 것도 이유로 풀이됩니다.

[유경원/상명대 경제금융학부 교수 : "(20대의) 소득증가율이 다른 세대보다 상당히 낮아졌어요. (20대가) 자산투자 소득을 기대할 수 밖에 없고, 자본이 없는 젊은 세대는 부채를 활용할 수밖에 없는 거죠. 기존에 주택을 보유하고 있었던 고령자, 중장년층의 자산가치는 올라가게 되고..."]

이런 상황에서 청년층에 가장 필요한 주거정책으로 80% 이상이 전세자금과 주거비 지원 등 금전적인 지원을 꼽았습니다.

청년층이 겪는 이 같은 경제적 어려움은 결국 또 저출산으로 연결됩니다.

20대의 19%가 결혼 자금이 부족해 결혼을 하지 않는다고 답했고, 아이가 없어도 된다고 응답한 2, 30대도 44%를 넘었습니다.

KBS 뉴스 김원장입니다.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43438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