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의 꽃’ 제주 산호 군락, 기생생물에 신음

by HươngLy posted Dec 15,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앵커


제주 바다하면 '바다의 꽃'이라 불리는 산호 군락의 비경을 빼놓을 수 없죠.

그런데 제주 바다의 산호가 기생 생물에 위협받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보도에 허지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뛰어난 수중 경관을 자랑하는 서귀포시 문섬과 범섬 앞바다.

해양 생물의 보고로 꼽히며 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됐습니다.

지금의 바닷속 모습은 어떨까?

수심 20m 아래, 울긋불긋 꽃이 핀 듯 화려한 연산호 군락이 자태를 드러냅니다.

하지만 눈을 돌리자 하얀 말미잘이 달라붙은 산호가 색을 잃은 채 서서히 죽어갑니다.

수온 상승 등으로 급증한 열대성 돌산호류는, 기존에 있던 제주 고유의 연산호 서식지를 침범하며 생존을 위협합니다.

낚싯줄에 휘감겨 옴짝달싹 못 하는 연산호도 눈에 띕니다.

[신주희/산호탐사대 활동가 : "기후 위기의 현장이죠. 돌산호들이 확장돼서 제주 바다에 원래 살고 있던 연산호들의 서식지를 침범하는 현상이 (확인됐다.)"]

해녀와 학생 등으로 구성된 산호탐사대가 1년 동안 확인한 산호 생존 위협 사례는 모두 129건.

말미잘 등 기생생물이 산호를 덮어 고사시키는 사례가 절반을 넘었고, 열대성 돌산호류 확산과 백화현상도 서른 건 넘게 확인됐습니다.

[고명효/산호탐사대 활동가/해녀 : "(문섬과 범섬이) 보호구역으로 지정돼있다고 하지만, 저희가 기록을 하면서 봤을 때 그런 보호구역에 대한 관리도 전혀 없는 것처럼 보이고."]

기후변화가 불러온 것으로 추정되는 기생생물의 증가로, '바다의 꽃' 제주 산호들이 신음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허지영입니다.

촬영기자:고아람/화면제공:산호탐사대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42528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