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습 시작했지만…물류비 부담은?

by HươngLy posted Jan 13,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앵커


중동 지역 주요 항로의 긴장감이 높아지면서 바닷길을 이용하는 우리 기업들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정부도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김지숙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예멘 반군 후티가 홍해를 지나는 상선에 대해 공격을 시작한 이후, 우리 국적 선박 대부분은 위험을 피해 우회 항로를 이용해왔습니다.

기존에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는 홍해 항로 대신, 아프리카 남단 희망봉까지 돌아가는 겁니다.

이 때문에 유럽 도착까지 일주일에서 열흘 정도 더 걸려 운송 기간과 물류비가 모두 늘어나게 됩니다.

그 결과 부산에서 출발해 유럽까지 도착하는 해상물류비는 두 달 전의 3배 수준으로 올랐습니다.

최근에는 아예 바닷길이 아닌 철도나 항공을 이용한 경로까지 추천되고 있습니다.

[이영호/삼성SDS 중아서권역 사업팀장 : "출발지에서 두바이까진 해상으로 운송을 하고, 다시 두바이에서 최종 목적지까지 운송은 항공을 사용해서 하는 서비스를 말하고 있고요."]

요금이 계속 오르고, 운송편 찾기도 점점 힘들어지는 상황.

사태가 장기화될 조짐까지 보이면서 특히 중소기업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의류 수출 기업 관계자 : "스케줄이 늦어지고 바이어(구매자)들한테서 항의가 많이 생기고, 다음 오더(주문)에 많은 영향을 좀 끼치겠죠. 인건비도 오르고 물류비까지 올라가다 보니까 어려움이 있습니다."]

정부도 어제 수출 비상대책반 회의를 열고 긴급 상황 점검에 나섰습니다.

당장 수출품 선적과 석유·천연가스 등 에너지 도입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파악됐지만, 사태가 더 나빠질 경우를 대비해 임시 선박 4척을 투입하고 중소기업 전용 선적 공간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김기곤/그래픽:김지훈 박미주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65252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