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北사이버위협 대응 협의 "신분위장 北IT인력 우려 공유"

by Vyvy posted Mar 30,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워싱턴서 실무회의 "가상자산해킹·정보탈취 등에 대한 공동대응 논의"

워싱턴서 한미일 북한 사이버 위협 대응 논의

워싱턴서 한미일 북한 사이버 위협 대응 논의

(워싱턴=연합뉴스) 한국과 미국, 일본 외교 당국자가 2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북한 사이버위협 대응 실무그룹 회의를 열고 북한의 핵무기 개발 자금으로 직결되는 가상 자산 해킹 등에 대한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한국 이준일 외교부 북핵외교기획단장(우), 미국 린 데버부아즈 국무부 대북특별부대표(가운데), 일본의 쿠마가이 나오키 일본 외무성 사이버안보대사 등 3국 수석대표가 손을 맞잡았다. 2024.3.30 [외교부 제공.재판매 및 DB금지]

(워싱턴=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한국과 미국, 일본 외교 당국자는 2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만나 북한의 핵무기 개발 자금으로 직결되는 가상 자산 해킹 등에 대한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세 나라는 이날 '제2차 북한 사이버 위협 대응 한미일 외교당국간 실무그룹 회의'를 열고 가상자산 해킹·정보탈취 등 북한의 악성 사이버 활동 동향과 북한 정보기술(IT) 인력 활동 등에 대한 평가를 공유하고, 한미일 공조를 통한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외교부가 밝혔다.

외교부는 "3국은 북한 IT 인력이 신분을 위장해 글로벌 IT 기업의 일감을 수주하고, 북한 핵·미사일 개발 자금을 조달할뿐 아니라 해킹 등 악성 사이버 활동에도 가담하는 양상에 대해 우려를 공유했다"고 밝혔다.

세 나라는 또 북한의 불법 사이버 활동을 저지하기 위해 민간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북한 IT 인력 주요 체류·활동 국가에 대해 외교적 관여를 하고, 국제사회의 사이버 보안 역량을 강화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번 회의는 작년 8월 캠프 데이비드 한미일 정상회의 때 세 나라 정상이 북한 사이버 위협 대응을 위한 공조를 강화하기로 합의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북한 사이버 위협 대응 실무그룹은 지난해 12월 출범해 이번에 두 번째 회의를 열었다.

한국 이준일 외교부 북핵외교기획단장, 미국 린 데버부아즈 국무부 대북특별부대표, 일본의 구마가이 나오키 외무성 사이버안보대사가 각각 수석대표로 나섰고, 각국 외교 당국과 관계부처의 북핵 문제 및 사이버 분야 담당자들이 다수 참석했다.

jhcho@yna.co.kr

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240330009400071?section=international/all


Articles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