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조회 수 6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외국 기업들이 베트남의 주요 제약회사 주식을 매입하여 전략적 주주 지위를 노리고 있다.

하따이제약(Hà Tây Pharmaceutical - DHT) 이사회는 전략적 주주에게 개별 주식을 제공하는 계획을 승인했다. 이 회사는 총 발행 주식의 11.36%에 해당하는 840만주의 개인 주식을 추가로 발행할 계획이다.

공모가는 주당 2만1,500동으로 약 1,810억 동에 해당한다. 모든 신주를 매입하기 위해 등록한 주주는 일본의 ASKA제약이다. 거래가 완료되면 ASKA는 DHT 자본의 33%에 달하는 2,680만 주를 보유하게 된다. 새로 발행된 주식은 3년 동안 양도가 제한된다.

ASKA는 100년 전에 설립된 제약회사로 일본 도쿄에 본사를 두고 있다. ASKA의 주요 사업은 의약품 및 의료 장비의 제조, 무역 및 수출입이다. 제약 부문에서는 내과, 산부인과 제품 및 요로 치료제를 전문으로 한다.

2021년 ASKA는 당시 시장 가격보다 18% 높은 주당 7만 동에 약 530만 개의 신주를 매입한 후 DHT의 전략적 투자자가 되었다. 현재 ASKA는 DHT의 자본금 24.9%(660만 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제약회사의 최대 주주이다. 2023년 6월, 하따이제약은 180%의 비율로 보너스 주식을 발행했는데, 이는 100주를 보유한 주주가 180주의 신주를 받는다는 의미이다. ASKA가 보유한 주식 수는 1,840만 주 이상으로 증가했다.

하따이제약 외에도 베트남의 주요 제약기업인 하우장제약(Hậu Giang Pharmaceutical - DHG), 도메스코(Domesco - DMC), 트라파코(Traphaco - TRA), 이멕스팜(Imexpharm - (IMP), 피메파코(Pymepharco - PME) 등 모두 외국인 주주가 있으며, 이 중 일부는 51% 이상의 지분을 보유하거나 전체 사업을 인수하기도 했다.

일분의 타이쇼 제약(Taisho Pharmaceutical)은 현재 하우장제약의 지분 51%를 보유한 모회사이다. 또한 애보트(Abbott)는 자회사인 CFR International Spa를 통해 도메스코의 지분 52%를 성공적으로 인수했다.

SK그룹(한국)의 계열사인 SK Investment Vina III는 현재 이멕스팜 주식의 약 48%를 보유한 최대 주주이다. 대웅제약은 트라파코의 전략적 주주로 1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베트남의 주요 제약 기업의 주식을 대량으로 소유하기 위해 외국 기업은 상당한 어려움을 겪어야 했지만 대부분의 거래가 결실을 맺었다.

타이쇼의 하우장제약 인수는 베트남 제약업계에서 가장 큰 M&A 거래로 꼽을 수 있다. 2016년에 타이쇼는 1억 달러를 들여 DHG 주식의 24.44%를 시장 가격보다 20~30% 높은 주당 10만 동에 매입했다.

그 후 타이쇼는 DHG 지분을 지속적으로 늘렸다. 2019년 중반에는 DHG 지분율이 51%까지 상승했다. 타이쇼가 하우장제약 인수를 위해 지출한 금액은 약 7조 동으로 추정된다. 인수를 완료한 지 3년 후, 타이쇼가 보유하고 있던 DHG 주식의 시장 가치가 8조3천억 동에 육박하면서 이 일본인 주주는 막대한 이익을 얻었고, DHG의 막대한 배당금도 받았다.

2017년에는 한국 주주 그룹이 2조 3천억 동 이상을 들여 Mekong Capital과 Việt Nam Holding으로부터 트라파코의 자본금 40.12%에 해당하는 1,660만 주를 매입했다. 현재까지 대웅은 트라파코에 재정적, 기술적 지원을 제공하는 전략적 주주가 되었다.

현재 한국 주주가 보유한 주식의 시장 가치는 약 1조5000억 동으로, 자본금 대비 36% 낮은 수준이다. 하지만 트라파코의 높은 연간 배당금이 위의 손실을 일부 보상하고 있다.

2020년에 SK그룹은 펀드 그룹인 Dragon Capital, CAM Việt Nam Mother Fund, Kingsmead, Mirae Asset으로부터 이멕스팜 주식 1,230만여 주(24.9%)를 양도받았다. 이 그룹은 2022년까지 이멕스팜 주식을 보유한 Red Capital을 인수해 지분율을 55%까지 늘렸다.

SK그룹은 Red Capital 인수 금액을 제외하고 이멕스팜 인수에 최소 1조7000억 동을 지출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현재 SK그룹이 보유한 이멕스팜 주식의 시장 가치는 약 2조2000억 동이다. 배당금까지 포함하면 SK그룹도 이익을 누리고 있는 셈이다.

출처 : 베한타임즈(http://www.viethantimes.com)

출처: http://www.viethan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7083


  1. 재베트남 한인소식지 모음

    Date2024.02.14 By관리자 Views4675
    read more
  2. Văn hoá tạo nên doanh nghiệp dân tộc 사이공 비지니스맨 잡지 보더자

    Date2024.01.17 By관리자 Views816
    read more
  3. 베트남, 글로벌 스포츠용품 공급망서 중요한 역할

    Date2024.01.31 ByVyvy Views41
    Read More
  4. 활발한 농촌 지역의 젊은 스타트업

    Date2024.01.31 ByVyvy Views135
    Read More
  5. 장기 대출에 대한 단기 자본 사용 강화

    Date2024.01.31 ByVyvy Views222
    Read More
  6. PV GAS, 베트남 최고의 가스 기업

    Date2024.01.31 ByVyvy Views365
    Read More
  7. 베트남 제약사 주식 매입하는 외국 기업들

    Date2024.01.31 ByVyvy Views60
    Read More
  8. ESG 관련 주식에 대한 선호도 증가

    Date2024.01.31 ByVyvy Views58
    Read More
  9. 2023베트남 엑스포, 1200여개 기업 유치

    Date2024.01.31 ByVyvy Views92
    Read More
  10. 노바랜드, 고급 부동산 자산으로 부채 해결 제안

    Date2024.01.31 ByVyvy Views61
    Read More
  11. 금값, 최근 역사상 최고치 기록

    Date2024.01.31 ByVyvy Views58
    Read More
  12. 베트남 은행, 배당금 지급 통해 자본 늘려

    Date2024.01.31 ByVyvy Views6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98 Next
/ 9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