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지난달 취업자 수가 증가하는 등 고용 흐름이 양호한 가운데 지난해 하반기 시·군·구 지역별 고용률 역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다만 구직활동이 활발한 청년층이 많이 거주하는 서울 관악구 등의 지역에서는 실업률이 5%를 웃돌았습니다.

통계청이 오늘(20일) 발표한 '2023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시군구 주요 고용지표'를 보면, 지난해 하반기 시 지역 취업자는 1,400만 6,000 명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17만 명 늘었습니다.

시 지역 취업자 규모가 1,400만 명을 넘은 건 2013년 해당 통계 작성 이후 처음입니다.

시 지역 고용률은 62.5%로 0.6%포인트 증가했습니다.

군 지역 취업자는 210만 3천 명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1만 4,000 명 늘었고, 고용률은 68.9%로 0.9%포인트 높아졌습니다.

시·군 지역 고용률 모두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7개 특·광역시 구 지역의 취업자 수는 1,153만 6천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만 3천 명 증가했고, 고용률은 58.7%로 0.9%포인트 상승했습니다.

특·광역시 가운데 고용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역은 인천광역시 옹진군(73.9%), 대구광역시 군위군(73.7%)이었고, 서울에서는 영등포구(66.2%)의 고용률이 가장 높았습니다.

도 별로 봤을 때는 경상북도 울릉군(82.4%), 전라남도 신안군(80.0%)이 최고 수준입니다.

반면 특·광역시 중 부산광역시 영도구(49.3%), 대구광역시 수성구(51.7%), 또 도 지역에서 경기도 양평군(56.5%), 경상북도 경산시(57.6%)는 고용률이 낮았습니다.

지역별로 취업자의 산업별 비중은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전라남도 신안군은 농림어업 취업자 비중이 59%에 달하고, 경기도 평택시는 건설업 취업자 비중이 13.7%로 전국에서 가장 컸습니다.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의 경우 도소매·숙박음식점업 취업자 비중이 30.4%를 차지했습니다.

일할 능력이 없거나, 일할 수 있는 능력은 있지만 일할 의사가 없는 비경제활동인구 비중은 부산 영도구(48.9%)가 가장 높았습니다.

지난해 하반기 시 지역의 실업자는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만 5천 명 감소한 39만 2천 명이었고, 군 지역 실업자는 2만 6천 명으로 3천 명 감소했습니다.

청년층 비중이 높은 구 지역 실업자는 1년 전보다 천 명 증가한 43만 명을 기록했습니다.

구 지역 실업률 역시 3.6%로 시(2.7%)나 군(1.2%) 지역 실업률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특광역시별 실업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인천광역시 동구(6.2%)와 서울특별시 관악구(5.3%)로 나타났습니다.

도별로 보면 경상남도 통영시(4.6%), 경기도 시흥시(4.5%)가 높았습니다.

지역별로 해당 지역에 일하러 오는 사람(근무지 기준 취업자)과 살면서 일하는 사람(거주지 기준 취업자) 비중 차이도 이번에 자세하게 공개됐습니다.

구 지역 가운데 거주지 기준 취업자가 근무지 기준 취업자보다 많은 지역, 즉 이른바 '베드타운' 특성을 보이는 곳은 서울 관악구(-14만 천 명), 인천 미추홀구(-7만 6천 명)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시 지역에서는 경기 수원시(-15만 9천 명)가 이 같은 특성을 나타냈습니다.

반면 삼성전자 사업장이 있는 경기 화성시는 일하러 오는 '근무지 기준 취업자'가 거주지 기준 취업자보다 (8만 4천 명) 더 많았습니다.

[사진 출처 : 통계청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출처: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9443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20 한은 “미혼인구 증가 총노동공급↓…남성 노동공급 감소 영향 커” HươngLy 2024.01.08 53
1819 안덕근 산업부 장관 “지속가능 발전 위해 초격차 역량 확보 필수” HươngLy 2024.01.08 130
1818 ‘중동 호조’에 플랜트 수주액 지난해보다 25%↑ HươngLy 2024.01.08 14
1817 “시총 200대 기업 83%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HươngLy 2024.01.08 18
1816 지난해 해외건설 수주 333억 달러…2년 연속 증가세 HươngLy 2024.01.08 24
1815 지난해 플랜트 수주 302억 달러…8년 만에 최다 HươngLy 2024.01.08 8
1814 ‘CES 2024’ 통합한국관 역대 최대 규모…국내 기업 143곳 ‘혁신상’ HươngLy 2024.01.08 541
1813 얼어붙은 분양시장, 건설 사업자들 ‘미분양 소진’ 고민 HươngLy 2024.01.08 15
1812 안갯속 반도체…패권 이어갈 ‘초격차’ 조건은? HươngLy 2024.01.08 11
1811 지갑 닫은 건설사들 공공택지마저 외면…3기 신도시 늦어지나 HươngLy 2024.01.08 17
1810 김웅, 총선 불출마 선언…“국민의힘 민주적 정당 아냐” HươngLy 2024.01.08 28
1809 국정원 “북한, 하마스에도 무기 공급”…‘한글 표기’ 부품 사진 공개 HươngLy 2024.01.08 10
1808 이재명 습격범 당적공개 논란…“법 지켜야” “공개해야” HươngLy 2024.01.08 10
1807 ‘민주 탈당’ 이상민, 국민의힘 입당…이낙연, ‘탈당 선언’ 예고 HươngLy 2024.01.08 9
1806 한동훈 “‘대장동 특검’이야말로 방탄 특검…이해충돌” HươngLy 2024.01.08 16
1805 이재명 ‘테러’에 공범 여부 확인 중…신상 공개위 내일 개최 HươngLy 2024.01.08 17
1804 ‘AI’ DJ의 메시지 “과거에 매여 싸우지 말고…” [현장영상] HươngLy 2024.01.08 19
1803 국민의힘 특위, 김동연에 “민주당 의원도 찬성하는 메가시티가 사기극?” HươngLy 2024.01.08 16
1802 국민의힘, 전직 장·차관 4명 영입…정황근·방문규·김완섭·이기순 HươngLy 2024.01.08 32
1801 김영우, 22대 총선서 ‘동대문갑’ 출마 선언…“의석 한 석이라도 찾아와야” HươngLy 2024.01.08 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 246 Next
/ 24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