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 해 동안 가계 빚이 18조 4천억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2년을 제외하면 2003년 통계 작성 이후 연간 증가폭이 가장 작았습니다.
한국은행은 오늘(20일) '2023년 4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먼저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886조 4천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빚(부채)'을 의미합니다.
가계신용 중 판매신용(카드 대금)을 뺀 가계대출만 보면, 지난해 4분기 말 잔액은 1,768조 3천억 원입니다.
지난해 한 해 동안 18조 4천억 원 늘어난 액수로, 이 같은 증가 폭은 가계대출이 감소했던 2022년을 빼면 통계 작성 이래 가장 작은 수준입니다.
한국은행 서정석 금융경제팀장은 "주택 거래량이 2022년보다는 늘었지만, 그 이전과 비교했을 때 많지 않은 영향을 크게 받았다"고 분석했습니다.
가계 대출은 지난해 2분기에 전 분기 대비 8조 7천억 원, 3분기엔 14조 4천억 원 늘어나며 증가폭을 키우다가, 4분기 들어 뚜렷하게 둔화했습니다.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완만한 둔화 흐름을 보였습니다.
지난해 4분기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전 분기보다 15조 2천억 원 늘어, 1,064조 3천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3분기 증가 폭은 17조 3천억 원이었습니다.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 축소에는 특례보금자리론 등 정책 주택담보대출 공급 속도가 조절되고, 개별 주담대 증가 규모가 줄어든 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이 줄었지만, 증가 규모가 여전히 큰 데 대해 서경석 한국은행 금융경제팀장은 "버팀목대출, 디딤돌대출 등 실수요층 대출이 늘었고, 지난해 4분기 주택 입주 물량이 늘면서 집단대출이 증가한 부분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습니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 대출은 지난해 4분기에 전 분기 대비 8조 7천억 원 줄어, 9분기 연소 감소세를 이어갔습니다.
가계대출 창구별로 보면, 지난해 4분기 예금은행 증가액은 11조 4천억 원으로 전분기(10조 원)보다 증가폭이 확대됐습니다.
반면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에서는 가계 빚이 5조 8천억 원 줄어, 감소세를 이어갔습니다.
기타금융기관은 1조 원 늘면서 전분기(9조 2천억 원)보다 증가폭이 축소했습니다.
가계 판매신용 잔액은 신용카드 이용 규모가 커진 영향 등으로 전분기보다 1조 5천억 원 늘어난 118조 1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할부금융업의 리스크 관리 강화 영향으로 보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출처: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94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