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윤석열 대통령이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과 농지 이용 규제의 혁신을 통해 “노동과 자본, 기술을 효율적으로 결합하여 경제적 가치 창출을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은 오늘(21일) 울산 울주군의 전시컨벤션센터(UECO)에서 ‘다시 대한민국! 울산과 대한민국의 새로운 도약’을 주제로 열린 열세 번째 민생토론회에 참석해 “지방의 일자리를 만들고 활력을 불어넣을 첨단 산업단지를 세우려 해도 그린벨트에 막히는 경우가 많다”며 이 같이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를 위해 먼저 “그린벨트 해제의 결정적 장애물이었던 획일적인 해제 기준을 20년 만에 전면 개편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구체적으로 ‘지역전략사업’에 포함되는 부지인 경우 각 지역별 그린벨트 해제 총량에 포함하지 않고, 원칙적으로 개발이 불가능했던 환경평가 1~2등급지도 해제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농지 이용 규제에 대해서도 “최근 스마트팜이나 수직 농업은 생산된 농산물 뿐만 아니라 농업 기술 그 자체로도 해외 시장 진출을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라며 개선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나아가 “산단이나 택지, 도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투리 농지’ 역시 이용 규제를 풀어야 한다”며 “눈앞에 있어도 쓸 수 없었던 땅에 학교, 병원, 도서관을 지으면 주민들의 삶의 질과 후생이 높아지게 되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를 위해 “12개 부처와 지자체의 농지 이용 규제 종류가 무려 336가지에 달하고 있다”며 “전수조사해서 시대의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는 낡은 규제는 신속히 개혁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를 통해 “울산이 국가대표 산업 허브로 확실하게 재도약하는 것이 대한민국 전체의 도약을 이끄는 지름길이고 저와 정부에게 주어진 책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출처: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9566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