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조회 수 11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22년 기준 우리나라 임금근로자들의 평균 소득은 353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1년 전보다 6% 증가하면서, 2016년 해당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폭으로 임금이 올랐습니다.

■"코로나 19 거리 두기 해제…건설업·일용직 임금 올라"

통계청이 오늘(27일) 발표한 '2022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 결과'를 보면, 2022년 12월 기준 임금근로일자리에서 하루 이상 일한 근로자들이 받는 평균 소득은 353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2021년보다 6%, 20만 원 올라, 2016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소득 순으로 정렬했을 때, 정 가운데에 놓이는 소득을 의미하는 중위소득도 267만 원으로 1년 전보다 6.9%, 17만 원 늘었습니다.

통계청 행정통계과는 "코로나 19로 인한 거리 두기가 2022년 5월부터 본격적으로 해제됐다"며 "공사 등이 재개되면서 건설업을 중심으로 구인난이 심해졌고, 이 여파로 일용직 노동자들의 임금이 크게 늘며 전체 임금 수준이 올라갔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증가 폭이 가장 큰 업종은 건설업(평균 301만 원)으로, 12.9%의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이어 운수·창고업(349만 원·8.2%), 사업시설관리(231만 원·7.1%) 순으로 많이 증가했습니다.

근속기간으로 보면 1년 미만 근로자들의 평균 소득은 210만 원으로, 근속기간이 긴 근로자들보다는 소득 수준이 낮았지만, 상승 폭(10%)은 가장 컸습니다.

또 1년 이상 2년 미만 근로자(300만 원), 2년 이상 3년 미만 근로자(325만 원) 임금이 각각 6.1%, 6% 증가했습니다.

■"성별 격차는 더 커져…업종 차이 영향"

성별 격차는 더 벌어졌습니다.

남자의 소득이 6.5% 오르며 414만 원으로 뛰었지만, 여성은 5.7% 오른 271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2021년의 남자 389만 원, 여자 256만 원과 비교하면 격차가 133만 원(2021년)에서 143만 원으로 확대된 겁니다.

통계청은 "건설업과 제조업 등 남자가 많이 종사하는 업종의 임금 상승세가 두드러졌지만, 여자가 많이 일하는 보건복지나 교육업종 등의 임금이 평균 이하로 오른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소득 1위 업종, 금융·보험업…평균 757만 원

산업별 평균소득은 금융·보험업(757만 원)이 가장 높았습니다.

전기·가스·증기·공기조절공급업(680만 원), 국제 및 외국기관(515만 원)이 뒤를 이었습니다.

반면 숙박·음식업(172만 원), 협회·단체· 기타 개인 서비스업(223만 원), 농업·어업·임업 (231만 원) 등이 임금이 낮은 산업으로 꼽혔습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평균 임금은 각각 591만 원, 286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사진 출처 : 통계청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출처: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900128


  1. 2022년 임금근로자 평균 소득 353만 원…“1위는 금융·보험

    Date2024.02.27 ByVyvy Views117
    Read More
  2. KDI “입시경쟁·저출생 해결 위해 더 많은 대기업 일자리 필요”

    Date2024.02.27 ByVyvy Views9
    Read More
  3. 한은 “더딘 물가 둔화 속도, 각국 통화정책 전환 시점에 영향

    Date2024.02.27 ByVyvy Views26
    Read More
  4. 지난해 IPO 건수·청약 경쟁률 모두↑…“상장 후 주가 하락 유의해야”

    Date2024.02.27 ByVyvy Views10
    Read More
  5. 국민의힘, 오늘 ‘기후 미래 택배’ 공약 발표…기후 스타트업과 간담회

    Date2024.02.27 ByVyvy Views13
    Read More
  6. 북, 러 세계청년축제에 대표단 파견…청소년 배구팀은 연해주서 전지훈련

    Date2024.02.27 ByVyvy Views92
    Read More
  7. 국회, 오늘 신숙희 대법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Date2024.02.27 ByVyvy Views40
    Read More
  8. 한 총리 “257개 인증제 재검토…·산림재난 대응 보강”

    Date2024.02.27 ByVyvy Views10
    Read More
  9. 박민식, 영등포을 경선 포기…“박용찬 후보 지지”

    Date2024.02.27 ByVyvy Views33
    Read More
  10. 정성호, 고민정 향해 “당무 거부하려면 최고위원 못하겠다 하는 게 나아”

    Date2024.02.27 ByVyvy Views9
    Read More
  11. 실효성 없는 인증 폐지·개선…“1,527억 절감”

    Date2024.02.27 ByVyvy Views10
    Read More
  12. 30년 이상 재직 경찰·소방관도 국립 묘지 안장 자격…내년 2월 시행

    Date2024.02.27 ByVyvy Views28
    Read More
  13. 새미래, ‘돌봄중심 생활동반자법’ 발표…“사회적 가족 인정”

    Date2024.02.27 ByVyvy Views10
    Read More
  14. 한 총리 “전공의, 29일까지 돌아오면 책임 안 물을 것”

    Date2024.02.27 ByVyvy Views95
    Read More
  15. 윤재옥 “민주당에 비례 한 석 줄이는 양보안 이미 통보…협상 계속 해야”

    Date2024.02.27 ByVyvy Views22
    Read More
  16. 한동훈 “민주당 지도력 상실…선거구 협상하다 만세 불러”

    Date2024.02.27 ByVyvy Views9
    Read More
  17. 개혁신당 “성범죄·마약범죄는 벌금형만 받아도 공천 부적격”

    Date2024.02.27 ByVyvy Views15
    Read More
  18. 신원식 “북한, 러시아 수출용 군수공장 풀가동…포탄 등 수백만 발 넘겨”

    Date2024.02.27 ByVyvy Views9
    Read More
  19. 새로운미래, ‘문재인 정부 첫 소방청장’ 등 2명 인재 영입

    Date2024.02.27 ByVyvy Views15
    Read More
  20. 최상목 “밸류업, 자본시장 업그레이드 첫 단추…상법 개정 추진”

    Date2024.02.26 ByVyvy Views16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246 Next
/ 24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