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잇따른 도발로 남북 관계가 악화하는 가운데 학생 10명 중 4명은 통일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통일이 필요하다는 학생 비율도 처음으로 절반 이하가 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통일부는 지난해 10~11월 사이 한 달 간 교육부와 함께 전국 초·중·고 756개교 학생 7만4천명과 교사·관리자 6천4백여명을 대상으로 ‘2023년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를 시행한 결과 이 같이 집계됐다고 오늘(16일) 밝혔습니다.
조사 결과 ‘통일이 필요하다’는 학생 비율은 2014년 조사가 시작된 이래 처음으로 50% 아래인 49.8%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통일이 불필요하다’는 학생들은 2020년 24.2%, 2021년 25%, 2022년 31.7%에 이어 2023년 38.9%로 올라 조사 이례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교사들의 ‘통일 필요’ 인식도 2022년 86.7%에서 지난해는 82.5%로 줄었습니다.
학생들의 통일에 대한 관심도도 해마다 감소하고 있습니다.
‘통일에 관심없다’는 응답자 비율은 2020년 20.2%에서 2021년 22.4%, 2022년 27%, 2023년은 28.3%로 매년 높아졌습니다.
북한 자체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강화됐습니다.
‘북한으로 인한 한반도 군사적 충돌·분쟁 가능성’에 대해 ‘약간 있다’고 응답한 학생과 교사가 각각 56.5%, 50.6%, ‘많이 있다’는 각각 24.1%, 15%로 학생과 교사 모두 충돌 가능성을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북한을 ‘협력 대상’으로 보는 응답자는 감소한 반면, 북한을 ‘경계·적대 대상’으로 보거나 남북관계가 ‘평화롭지 않다’고 여기는 학생·교사들은 늘었습니다.
통일부는 “북한의 도발 때문에 학생들의 통일·북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해졌다”면서 “미래 세대들의 통일 인식을 제고시켜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통일부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출처: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915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