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난임치료 지원사업 포스터. 기사와 무관. (사진=한국뉴스DB)


난임치료 지원사업 포스터. 기사와 무관. (사진=한국뉴스DB)

 

육아휴직 장려금을 중산층 이상 계층에서 대부분 가져가는 것으로 나타나 저소득층을 위한 제도 개선이 시급해 보인다.

12일 남동구에 따르면 육아휴직과 관련된 일련의 현금성 지원이 중산층 이상으로 '쏠림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사회보장 행정 데이터 구축 및 기초분석 최종보고서'를 보면 육아휴직급여를 받는 가구 중 소득분위 2~4분위는 0.9~9.0%에 불과했다.

반면 8분위는 19.8%, 7분위는 17.3%, 9분위는 15.7%에 달했다.

소득분위는 통계청이 우리나라 전체 가구를 분기 소득수준에 따라 10%씩 10단계로 나눈 지표인데 10분위로 갈수록 고소득 가구를, 1분위로 갈수록 저소득층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인천 남동구가 정부와 지자체가 시행 중인 육아휴직 지원금 제도의 고소득층 쏠림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앞장서기로 했다.

고용노동부는 현재 고용보험법에 따라 지급하는 육아휴직급여를 부모 모두 육아휴직 시 지원 규모가 확대되도록 개편을 추진 중이다.

남동구를 비롯한 전국 24개 군구는 아빠 육아휴직 장려금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아빠 육아휴직 장려금은 고용노동부의 육아휴직급여와 별도로 자치구 예산 100%로 추진하는 출산장려 정책이다.

하지만 남동구는 이 같은 현금성 지원이 중산층 이상으로의 쏠림에 따라 저소득층의 출산율에 이 제도가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여기에 육아휴직 사용이 어려운 영세한 사업체의 노동자에게 현금성 지원은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고, 고용보험 가입자가 주 대상이기 때문에 영세 자영업자 등도 상대적으로 혜택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높다.

소득 규모와 무관하게 지급되는 아빠 육아휴직 장려금도 문제가 있다.

구는 실효성 있는 출산 정책을 위해 현금성 지원의 제도 및 운영 방식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인천 8개 구가 자체적으로 아빠 육아휴직 장려금을 시행하거나 시행 예정인 만큼 정책 개선 필요성을 제기하고 남동구를 중심으로 공동 대처를 촉구할 계획이다.

박종효 남동구청장은 “육아휴직 지원금이 애초 취지대로 저출산 문제의 해결 방안이 되려면 제도 개선을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며 “남동구만이 아니라 전국 모든 지자체의 현안인 만큼 힘을 합쳐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출처 : 한국뉴스(https://www.24news.kr)

출처: https://www.24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2102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 246 Next
/ 24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