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오늘 국내 36개 증권사 감사, 준법감시인 등과 간담회를 갖고 최근 잇따라 발생하는 증권사의 금융사고와 손실 사태와 관련해 개선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금감원에 따르면 올해 증권사 금융사고는 14건으로 손실 규모는 668억 원에 달합니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증권사에서 발생한 사고 건수가 평균 7.8건, 손실 규모가 143억 원인 것과 비교하면 불과 1년여 만에 많이 늘어난 겁니다.
금감원 검사 과정에서 일부 증권사는 기업금융 임직원의 직무정보 이용, 횡령 등 사례가 다수 적발됐습니다.
또 부서 전체가 불법 행위에 가담했는데도 해당 사실을 전혀 인지하지 못하는 사례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에 금융감독원은 내부통제 시스템을 전면 재검토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황선오/금융감독원 부원장보 : "업계 관행 개선과 불법행위 근절을 위해서는 증권사의 자체적인 내부통제 기능 제고가 필수적으로 동반되어야 할 것입니다."]
또 위법행위를 방조, 은폐하거나 내부통제 업무가 소홀한 경우 준법감시인 등에도 책임을 물을 예정이라며 부동산 PF, 기업금융 등 IB 부문에 대한 내부통제를 대폭 강화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금감원은 투자대상 선정 시 위험 요인에 대한 실사를 엄격히 진행하고 미수 거래와 신용융자 등 차입 투자 영업과 관련해 위험 관리를 더 철저히 해서 대규모 미수금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관리할 것을 주문했습니다.
금감원은 내년 주요 업무계획에 '증권사 내부통제 실효성 제고'를 선정해 금융사고 예방을 중점 추진합니다.
KBS 뉴스 김용덕입니다.
촬영기자:이경구/영상편집:박은주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17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