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트파이낸싱(PF) 연체율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금융기관에 미칠 영향력은 제한적이라고 한국은행이 밝혔습니다.

한국은행은 오늘(28일) 금융통화위원회 금융안정회의를 열어 금융 상황 전반을 점검하고 이같이 진단했습니다.

먼저 한은은 PF 대출 증가세가 정체됐지만,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연체율 상승세는 지속되면서 PF 관련 잠재 위험이 다소 커졌다고 봤습니다.

다만 PF 유동성 위기가 불거질 위험이 큰 사업장에서 중·저위험 사업장으로 위험이 확산하는 상황을 가정해도 전체적인 금융회사들의 손실흡수력은 양호한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습니다.

고위험 PF 사업장의 시공사(건설사) 가운데 약 85%가 시공능력 100위권 밖 중·소 건설사로 추정돼 건설 업계 전반에 미칠 영향력이 적고, 이런 건설사들의 전체 익스포저를 살펴봐도 81.7%가 저위험 사업장에 해당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PF 부실이 고위험 사업장에서 다른 사업장으로 옮겨가는 상황을 가정해도 모든 금융 업권의 평균자본비율이 규제 기준을 크게 웃돈다고 한은은 밝혔습니다.

금융기관들이 지난해 부실채권을 적극적으로 매각하는 등 자산건전성을 제고한 데 따른 영향으로 보입니다.

지난해 말 기준 금융기관 부실채권은 43조 7,000억 원으로 2022년 말(41조 3,000억 원) 대비 늘었지만, 부실채권 매·상각 규모도 확대됐습니다.

지난해 은행의 부실채권 매·상각 규모는 9조 1,000억 원, 비은행권은 15조 2,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93.6%, 74.4% 늘어났다고 한은은 설명했습니다.

부동산 경기 부진이 지속하면서 건설기업들의 재무건전성도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66개 상장건설사가 2021년부터 지난해 3분기까지 이자보상배율과 유동비율 중위값이 꾸준히 하락했습니다.

이자보상배율은 기업의 채무상환능력을, 기업의 신용능력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낮을수록 재무건전성이 떨어졌다는 의미입니다.

다만 지난해 3분기 기준 부채비율은 112.2%로 2022년 말(120.5%) 대비 소폭 개선됐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925430


  1. 유승민, 유경준 지원사격…"국민의힘 반성하고 일하게 해달라"

    Date2024.03.28 ByVyvy Views58
    Read More
  2. 민주 양문석, 20대 딸 명의 11억 대출받아 서초 아파트 매입

    Date2024.03.28 ByVyvy Views241
    Read More
  3. 민주당 제주도당 "정권 심판 제주서부터…힘 실어달라"

    Date2024.03.28 ByVyvy Views41
    Read More
  4. 가수 남진, 오늘 신곡 ‘다 내탓이오’ 발표

    Date2024.03.28 ByVyvy Views39
    Read More
  5. KBS ‘길에서 여자가 살았다’ 한국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 수상

    Date2024.03.28 ByVyvy Views42
    Read More
  6. “멤버 모두 청각장애” 아이돌 그룹 ‘빅오션’ 다음 달 데뷔

    Date2024.03.28 ByVyvy Views35
    Read More
  7. 경사노위, 항공업 노동자 간담회…처우개선 방안 논의

    Date2024.03.28 ByVyvy Views20
    Read More
  8. 공정위, 치킨·커피 등 가맹본부 갑질 집중 조사

    Date2024.03.28 ByVyvy Views122
    Read More
  9. 한은 “부동산 PF 연체율 상승 지속…금융기관 영향은 제한적”

    Date2024.03.28 ByVyvy Views28
    Read More
  10. 지난해 4분기 가계부채 0.4%↑…“주담대 감소로 증가폭 줄어”

    Date2024.03.28 ByVyvy Views52
    Read More
  11. 지난해 국세청 세수 335.7조…전년대비 12.6%↓

    Date2024.03.28 ByVyvy Views132
    Read More
  12. 가맹 희망자에 이익률 과장한 ‘여우애’ 가맹본부에 과징금 2.5억

    Date2024.03.28 ByVyvy Views55
    Read More
  13. 올해 청년 4.8만 명에 기업 ‘직무 경험’ 제공…174개 운영기관 참여

    Date2024.03.28 ByVyvy Views34
    Read More
  14. 국민은행, 의사 대출 ‘닥터론’ 온라인 판매 중단…“집단 사직과는 무관”

    Date2024.03.28 ByVyvy Views38
    Read More
  15. 서울 아파트값 상승 전환…마포·송파 등 12개구 상승

    Date2024.03.28 ByVyvy Views39
    Read More
  16. 최상목 “필수·지역의료에 과감한 재정 투입…내수 지원 필요”

    Date2024.03.28 ByVyvy Views57
    Read More
  17. 국회의원 35% 불경기에도 재산 늘었다…42명은 1억 원 이상↑

    Date2024.03.28 ByVyvy Views70
    Read More
  18. 윤 대통령, 재산 74억8천만 원…김동조 비서관 210억 원 증가

    Date2024.03.28 ByVyvy Views509
    Read More
  19. 고위공직자 1,975명 재산 공개…평균 재산 19억여 원

    Date2024.03.28 ByVyvy Views43
    Read More
  20. 신원식 국방장관 재산 16억7천만원 신고…ADD 소장 57억원

    Date2024.03.28 ByVyvy Views77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246 Next
/ 24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