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조회 수 25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金 사과 없게 하겠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대구광역시 군위군에 있는 사과연구센터를 방문해 한 말입니다.

정부 전 부처가 사과 값을 안정시키기 위해 나선 모양새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미래 재배 적지를 중심으로 생산성이 지금보다 2배 이상 높은 스마트 과수원 특화단지를 조성하는 내용의 과수 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을 오늘(2일) 발표했습니다.

■ 노동력 절감하는 스마트 과수원 확대

스마트 과수원은 나무 형태와 배치를 단순화해서 노동력을 기존 과수원의 30%까지 절감하는 과수원입니다.

또 햇빛을 많이 받도록 가지를 옆으로 벌여 키우고 가지치기 등은 기계화해서 생산효율을 극대화합니다.

농촌이 고령화되고 일손이 부족한 만큼, 인력을 덜 들이고도 생산이 가능한 스마트 과수원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정부는 이런 스마트 과수원을 20ha 규모로 단지화해 2025년에는 5곳을 새로 조성하고, 2030년까지 60곳으로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

면적으로 보면 전체 사과 재배면적의 4% 수준이지만, 생산성이 높기 때문에 사과 생산량의 8%를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스마트과수원에서 기계로 가지치기를 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스마트과수원에서 기계로 가지치기를 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


 '사과의 힘 강원 사과' 나오나

'대구 사과'가 유명하던 것은 예전 얘기죠. 2030년이 되면 사과의 재배 적지는 강원도입니다.

농촌진흥청은 우리나라의 기후 조건을 분석한 결과 사과의 재배 적지와 재배 가능지가 급격히 줄어, 2030년대에는 강원도가 재배 적지가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더 나아가 2070년이 되면 강원도에서도 일부 지역에서만 재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2010년에 비해 2030년에는 사과 재배 적지가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자료 : 농촌진흥청, 2022)2010년에 비해 2030년에는 사과 재배 적지가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자료 : 농촌진흥청, 2022)


정부는 이에 대응해 강원도 등 새로운 사과 산지를 전략적으로 육성할 계획입니다.

정선‧양구 등 강원 5대 사과 산지의 재배면적을 2023년의 931ha에서 2030년까지 2배(2,000ha)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2023년 강원도의 사과 재배면적은 1,679ha로, 이 가운데 정선‧양구‧홍천‧영월‧평창 등 5대 산지가 55%를 차지했습니다.

여기에 거점 APC를 건립하고, 강원 사과 브랜드화도 추진합니다. '강원도의 힘' 사과를 시장에서 볼 수도 있겠습니다.

■ 사과 재배면적은 비슷하지만 재배지가 옮겨간다

농식품부는 사과 재배면적이 크게 줄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과 재배면적이 줄어들고 있어 장기적으로 '金사과'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을 의식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 새로운 재배 적지를 추가하면 국민들이 소비하는 사과 물량은 무난히 생산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기상 이변에 대비하기 위한 시설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사과‧배 기준 현재 재배면적의 1~16% 수준인 3대 재해(냉해‧태풍‧폭염) 예방시설 보급률을 2030년까지 30%로 확충하기로 했습니다.

이렇게 재해예방시설을 30%로 늘리면 피해는 약 31% 줄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재해예방시설은 피해 면적이 넓고 빈도가 잦은 위험지역에 우선 보급하고, 포도 등에는 이미 보편화 된 비 가림 시설을 사과‧배에도 적용하도록 보급하기로 했습니다.

■ 유통단계 줄여 비용 절감

농식품부는 또한 온라인 도매시장을 활성화하고 산지-소비지 직거래를 늘려 유통단계를 1~2단계 단축하고 유통비용을 10% 절감하는 방안도 추진합니다.

사과의 경우 2030년까지 온라인 도매시장 유통 비중을 전체 거래의 15%까지 확대하고, 산지-소비지 직거래 비중도 35%까지 높일 방침입니다.

이를 위해 산지와 소비지 다양한 유통 주체를 규모화‧조직화하여 참여를 유도할 계획입니다.

산지는 거점‧스마트APC를 중심으로 취급 물량을 확대하고, 소비지는 중소형 마트‧전통시장 등의 수요 물량을 규모화해 유통비용을 줄인다는 안입니다.

[연관기사] 노란 사과를 드릴까요? 초록 배를 드릴까요?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928924

그래픽 권세라 이재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92892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60 영동고속도로서 시외버스 화재…인명피해 없어 tranghoan 2023.11.18 72
4559 경연대회 상금 전액 기부한 육군 23경비여단 김경률 중위 tranghoan 2023.11.18 438
4558 2023년의 오타니, 역대 MVP 순위에서 19위 평가 tranghoan 2023.11.18 59
4557 피겨 김채연, 그랑프리 5차 대회 쇼트 3위…연속 메달 보인다 tranghoan 2023.11.18 17
4556 英 오피셜 차트서 BTS 정국·스트레이 키즈 곡 대거 진입 tranghoan 2023.11.18 19
4555 점점 낮아지는 명품 소비 연령…10∼20대에 처음 접한다 tranghoan 2023.11.18 53
4554 럼피스킨병 발생 한 달째 확진 103건으로 늘어…임실서도 발생 tranghoan 2023.11.18 30
4553 청소년, 직업 고를 때 "수입이 중요"…10년새 25%→35% tranghoan 2023.11.18 71
4552 주유소 기름값 6주째 하락…휘발유 석달만에 1천600원대로 tranghoan 2023.11.18 29
4551 금융 불확실성 시대, 젊은 층 안전자산 금 투자 관심 tranghoan 2023.11.18 48
4550 고층아파트서 날벼락…초등학생이 던진 돌 맞은 70대 사망 tranghoan 2023.11.18 15
4549 가을 참조기 어디로 갔나…최근 3년간 어획량 반토막 tranghoan 2023.11.18 26
4548 속초∼러시아 북방항로 20일 취항식…10년 만에 운항 재개 tranghoan 2023.11.18 40
4547 겨울철 일손 부족한 제주 돕는다…충북도 '도시농부' 파견 tranghoan 2023.11.18 29
4546 청주서 1년간 아동학대 피해 434명…행위자 89% 부모 tranghoan 2023.11.18 34
4545 서천 모 파출소장 음주운전 적발…직위해제 tranghoan 2023.11.18 17
4544 [#나눔동행] 가까운 이웃 돕는 기부 챌린지…보령 대천1동 지사협 tranghoan 2023.11.18 9
4543 합참 “북한 정찰위성 발사 준비 즉각 중단해야”…엄중 경고 [현장영상] HươngLy 2023.11.20 14
4542 국회 행안위, 23일 ‘행정전산망 마비’ 현안질의…이상민 장관 출석할 듯 HươngLy 2023.11.20 11
4541 합참 “북 정찰위성 발사 즉각 중단해야…엄중 경고” HươngLy 2023.11.20 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246 Next
/ 24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