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국 다큐멘터리 사진의 개척자이자 한국의 모더니즘 사진을 대변하는 강운구 작가의 암각화 사진을 만나볼 수 있는 전시 《암각화 또는 사진》이 22일(수)부터 내년 3월 17일까지 서울시 종로구 뮤지엄한미 삼청에서 열립니다.

강운구(姜運求, 1941~ ) 작가는 1960년대 이후 개발독재의 강압적인 분위기 속에서 산업 사회로 바뀌는 한국 사회의 국면들을 끊임없이 사진으로 기록해 왔습니다. 수입 사진 이론의 잣대를 걷어내고 우리의 시각언어로 포토저널리즘과 작가주의적 영상을 개척해 가장 한국적인 질감의 사진을 남기는 작가라는 평가를 받습니다.

주로 사람, 그리고 사람이 사는 방법과 환경에 관심을 뒀던 강운구 작가는 그동안 같은 시대, 같은 지역에서 함께 사는 사람들을 기록하고 해석해왔습니다.

50여 년 전 신문에서 접한 울산 반구대 암각화 속 고래가 왜 세로로 서 있을까 궁금증을 품었던 작가는 스스로 그 답을 찾으러 나섰습니다.

고고학적인 사진을 한다며 2017년에 본격적으로 작업을 시작한 작가는 3년여 동안 국내 암각화와 더불어 한국과 문화의 친연성이 있다고 알려진 중앙아시아 계열 지역의 파미르고원, 톈산산맥, 알타이산맥에 걸쳐 있는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을 비롯한 중앙아시아 4개국과 러시아, 몽골, 중국 등 8개국 30여 곳을 답사하고 카메라에 담았습니다.

전시는 모두 9개 섹션으로 구성됩니다. 지하 1층 멀티홀에서는 작가가 방문한 8개 나라의 여러 지역에 펼쳐진 다양한 암각화 가운데 비슷한 형태를 띤 핵심 암각화 작업을 계절별로 재구성해 보여줍니다.

이어 지하 1층 복도형 전시실부터 1층 전시실까지 중앙아시아 4개국과 러시아, 한국, 중국, 몽골의 암각화를 선보입니다. 특히 전시의 마지막 섹션인 제2전시실에서는 이번 전시의 출발점이 된 한국의 반구대와 천전리 암각화를 소개합니다.

전시 작품은 암각화로 대변되는 과거는 흑백사진으로, 현대인의 삶과 풍경은 컬러사진으로 구성된 이중구조로 돼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작가는 암각화를 그린 고대의 사람들처럼 현시대의 시간성과 역사성을 기록하는 기록자의 시선으로 암각화는 곧 고대의 사진이라는 정의를 증명해냅니다.

전시 개막에 맞춰 사진집도 출간됩니다. 강운구 작가와 『경주 남산』(1987) 등을 함께 작업한 편집디자이너 정병규가 완성한 『암각화 또는 사진』에는 전체 연작과 함께 작가의 글과 작품 설명이 실렸습니다.

전시 기간에 다양한 연계 프로그램도 마련됩니다. 먼저 다음 달 9일(토)에는 전시작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와 함께 작가의 작업 세계를 직접 들어볼 수 있는 아티스트 토크가 진행됩니다.

내년 1월 27일(토)에는 전시 주제와 연계해 깊이 있는 내용에 대한 강연과 더불어 후배 사진가가 직접 진행하는 특별 도슨트도 세 차례 진행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뮤지엄한미 누리집(https://museumhanmi.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2290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40 6년간 노인 300여명 무면허 진료한 '가짜 치과의사' 덜미 tranghoan 2023.11.21 15
4439 대한민국 해외봉사상 최고상에 정혁준 코이카 글로벌협력의사 tranghoan 2023.11.21 30
4438 11월 중순 수출 2.2%↑…반도체도 플러스 전환 가능성(종합) tranghoan 2023.11.21 17
4437 10년간 세계 6대 마라톤 완주 90세 美한인, 내년엔 남극 달린다 tranghoan 2023.11.21 83
4436 문체부, 대한민국 관광기념품 박람회 개최…100여개 기업 참여 tranghoan 2023.11.21 17
4435 BTS, 내달 20일 10년 궤적 담은 다큐 디즈니+서 공개 tranghoan 2023.11.21 13
4434 방심 운전자에 치인 뇌사 20대, 4명에게 고귀한 '생명나눔' tranghoan 2023.11.21 119
4433 내일 개봉 ‘서울의 봄’ 13만명 예매…韓영화 흥행 불씨 될까 HươngLy 2023.11.21 20
4432 “윤석열 대통령 탄핵 200석 확보해야”…“습관적 탄핵 언급, 매일 같이 망언” HươngLy 2023.11.21 56
4431 황의조 사생활 논란 일파만파…대한축구협회 대응에 주목 HươngLy 2023.11.21 47
4430 이숭용 SSG 감독, 현역 시절 등번호 ‘71번’ 달고 사령탑 데뷔 HươngLy 2023.11.21 118
4429 페로탕 파리에서 심문섭 작가 회화 연작 조명하는 개인전 HươngLy 2023.11.21 17
» 한국 다큐멘터리 사진 거장 강운구 작가가 포착한 ‘암각화’ HươngLy 2023.11.21 22
4427 “올 한해 어떻게 보내셨나요?”…교보아트스페이스 ‘올해의 기억’ 전 HươngLy 2023.11.21 19
4426 ‘조선 역대 최장수’ 신정왕후 팔순 잔치 디지털로 재현 HươngLy 2023.11.21 240
4425 “돈에 휘말린 현실 쓰고 싶었다”…조정래 새 장편 ‘황금종이’ HươngLy 2023.11.21 14
4424 주먹구구식 온실가스 감축…“목표 56% 이행 어려워” HươngLy 2023.11.21 16
4423 전국 의대, 2025년 정원 최대 2,847명 늘려 달라 요청 HươngLy 2023.11.21 98
4422 “재난 상황, 카톡에 올려줘”가 94%…먹통 되면 어떻게? HươngLy 2023.11.21 23
4421 서울시 “전장연, 이동권 주장 전에 시민 이동권 존중해야” HươngLy 2023.11.21 1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246 Next
/ 24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