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지하철 탑승 시위를 재개한 것과 관련해 선량한 시민의 이동권을 존중해야 한다며 시위를 중단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서울시는 오늘(21일) 보도자료를 통해 “전장연이 이동권 보장과 권리중심중증장애인 일자리 폐지 규탄 등을 이유로 올 한해 76여 회에 걸쳐 집회와 시위를 강행해 시민들에게 큰 불편을 끼쳤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시는 “10량 가량의 지하철 객차에 설치된 40여 개의 출입구 주변을 휠체어 등으로 일제히 막아서거나 열차 탑승구에서 이동하지 않고 타고 내리기만을 반복하는 방법으로, 고단한 시민들의 출근길 발걸음을 더욱 힘겹게 했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서울시가 권리중심 공공일자리 사업을 폐지하면서 최중증 장애인의 400명과 전담인력을 해고했다’는 전장연 주장도 반박했습니다.
서울시는 “그간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가 집회·시위·캠페인 위주의 선전·선동에 편중돼 중단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3월 진행한 실태조사 결과, 3년간 공공일자리 참여자의 직무 활동 중 50.4%가 집회·시위·캠페인에 치중됐다고도 전했습니다.
서울시는 내년 장애인 공공일자리 사업 추진을 위해 지난해 대비 약 20억 원이 증액된 493억을 편성하고 공공일자리의 수는 350개를 늘린 4,674개를 제공한다고 밝혔습니다.
내년부터 ‘장애유형별 맞춤형 특화일자리 사업’을 통해 원예관리 보조, 장애 예술인 등 시대변화와 장애 유형·특성을 반영한 직무와 근무처를 발굴해 장애인의 자아실현과 지역 사회에 기여하도록 운영할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22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