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조회 수 4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규격에 따라 비상품 감귤인지를 확인하는 제주도 자치경찰단 (화면제공: 제주도 자치경찰단)규격에 따라 비상품 감귤인지를 확인하는 제주도 자치경찰단 (화면제공: 제주도 자치경찰단)


없으면 아쉬운 겨울철 대표 간식, 바로 감귤입니다. 본격적인 감귤철이 시작됐습니다. 제주에선 밭에서 키우는 노지 감귤 수확이 한창인데요. 올해는 특히나 감귤값이 많이 올랐습니다. 이달 들어 감귤 5kg 한 상자당 평균 가격은 1만 원대로, 11월 기준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 봄철 기온이 낮고, 장마가 길어지면서 생산량이 줄어든 게 원인으로 풀이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가격 상승을 틈타, 상품으로 판매할 수 없는 비상품 감귤 유통도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판매 불가' 비상품 감귤, 수도권 도매시장서 줄줄이 적발

제주도자치경찰단은 지난 14일부터 사흘 동안 수도권 도매시장 4곳에서 특별 단속을 벌인 결과, 비상품 감귤 9톤을 적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가운데 서울 송파구 가락동 농수산물시장에서 적발된 양이 4톤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 강서구 농산물 도매시장과 인천, 수원 도매시장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이번에 단속된 감귤 유통업체는 22곳으로, 이 중 18곳은 상품 크기 기준을 초과한 감귤 6.5톤을 유통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제주도 감귤 생산과 유통에 관한 조례 등에 따라 감귤은 크기에 따라 2S부터 2L까지 5가지 규격으로 분류하는데, 이 규격에 맞는 감귤만 시중에 판매할 수 있습니다.
 

시중에 판매할 수 없는 비상품 감귤을 유통하면 최대 1,0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시중에 판매할 수 없는 비상품 감귤을 유통하면 최대 1,0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또 다른 유통업체 4곳에선 품질 검사를 하지 않은 감귤을 유통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통상 감귤 유통업체, 일명 선과장에선 농가로부터 감귤을 밭째 사들인 뒤 상품 분류와 품질 검사 등을 거쳐 도매시장 등에 판매합니다. 이때 유통업체마다 품질검사원이 상주하며, 이들이 검사를 마친 감귤 상자에 자신의 이름과 위촉 번호 등이 적힌 도장을 찍게 됩니다.

자치경찰단 조사 결과, 위반 업체에선 이러한 품질 검사 없이 도매시장에 감귤을 유통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렇게 적발된 감귤도 2.6톤에 달합니다.

자치경찰단은 해당 업체들을 제주시와 서귀포시에 통보해 과태료를 부과할 방침입니다. 조례에 따라 위반 업체에는 최대 1,0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비상품 감귤, 과태료 부과해도 폐기는 못 한다

그렇다면 단속에 적발된 비상품 감귤은 어떻게 처리될까요? 판매할 수 없는 감귤이니 폐기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수도권 도매시장에서 적발된 비상품 감귤은 조치할 방법이 없다는 게 자치경찰단 설명입니다. 유통업체와 도매상이 계약을 마쳤거나 경매가 끝나 소유권이 넘어간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제주도자치경찰단 담당 수사관은 KBS와의 통화에서 "제주도 조례에 따른 단속이기 때문에 폐기를 지시할 권한이 없다"며 "과태료는 부과할 수 있지만, 폐기 명령은 내릴 수 없는 게 현실"이라며 어려움을 나타냈습니다.
 

자치경찰단 단속에도 수도권 도매시장에서 적발된 비상품 감귤은 폐기가 어렵다 (화면제공: 제주도 자치경찰단)자치경찰단 단속에도 수도권 도매시장에서 적발된 비상품 감귤은 폐기가 어렵다 (화면제공: 제주도 자치경찰단)


단속 역시 쉽지 않습니다. 제주도감귤출하연합회 소속 모니터링 요원들이 수도권 도매시장마다 파견돼있지만, 하루에 들어오는 물량만 적게는 50톤에서 많게는 200톤에 달하다 보니 일일이 단속하기 어렵다는 겁니다.

비상품 감귤은 제주 감귤 이미지를 훼손하고, 소비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행정당국은 입을 모아 말합니다. 앞으로도 제주 감귤이 소비자들에게 꾸준히 사랑받기 위해, 유통업체들의 자정적인 노력이 선행돼야 하는 이유입니다.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2444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40 울산대, 유니버설 로봇 교육센터로 지정…협동로봇 교육 tranghoan 2023.11.23 52
4339 행안부, 영국 내각부와 디지털정부 협력 MOU 체결 HươngLy 2023.11.23 30
4338 “파양 뒤 돌보겠다” 속인 뒤 생매장…보호소 운영자 등 기소 HươngLy 2023.11.23 171
4337 국립대병원 등 공공 의료기관 의사, 정원 대비 2천427명 부족 tranghoan 2023.11.23 34
4336 부산서 택시 충돌 뒤 화재…아파트 건설 현장서 50대 남성 추락사 HươngLy 2023.11.23 145
4335 비대면 진료 제한 대폭 풀리나…“재진 기간 늘고 야간·휴일 허용” tranghoan 2023.11.23 66
4334 서울교통공사 “전장연 지하철 시위 원천봉쇄…무관용 원칙” HươngLy 2023.11.23 17
4333 재개발 ‘밀레니엄 힐튼 서울’ 호텔, 메인 로비 원형 보존하기로 HươngLy 2023.11.23 20
» ‘판매 불가’ 감귤, 도매시장은 예외?…폐기도 못 한다 HươngLy 2023.11.23 43
4331 아이 낳고 싶지만···미혼남녀 70%가 출산 주저하는 이유는? tranghoan 2023.11.23 40
4330 피겨 이해인, 24∼25일 NHK 트로피 출격…‘파이널 티켓 도전’ 입력 2023.11.23 (10:33) HươngLy 2023.11.23 81
4329 “쇼핑백 왜 들고 다니나 했더니”…전통시장 CCTV에 찍힌 ‘나쁜 손’ [잇슈 키워드] HươngLy 2023.11.23 122
4328 “매장 들어가려면 생년월일 입력”…샤넬코리아에 과태료 tranghoan 2023.11.23 19
4327 “두 눈에 시퍼런 멍”…생후 6개월 아이 ‘학대 정황’ [잇슈 키워드] tranghoan 2023.11.23 32
4326 블랙핑크, 英 버킹엄궁 국빈 만찬 참석...4인 4색 드레스 눈길 tranghoan 2023.11.23 29
4325 오늘부터 종부세 고지서 발송...대상자 백만 명 이하로 감소 tranghoan 2023.11.23 60
4324 '서울어린이 꿈축제' 첫 개최…오세훈-아동들, 행복주간 선포 tranghoan 2023.11.23 360
4323 농식품부 "농식품·전후방산업 수출 100억달러 넘어" tranghoan 2023.11.23 35
4322 광개토왕비 탁본, 프랑스 도서관서 찾았다…106년 만에 재발견 tranghoan 2023.11.23 46
4321 [영상] 히트곡 '뚜두뚜두' 연주 속에…블랙핑크 대영제국훈장 수여 tranghoan 2023.11.23 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246 Next
/ 24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