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고속철도

고속철도

[한국철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정부가 철도시설 유지보수를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독점하도록 규정한 현행법 개정을 추진하겠다는 방침을 14일 밝히면서 20년간 유지되어 온 독점구조가 깨질지 주목된다.

 

국토교통부가 개정을 추진하기로 한 철도산업발전기본법(철산법)은 2003년 제정돼 시행 20주년을 맞은 법이다.

 

이 법은 과거 철도 관련 모든 업무를 담당했던 철도청이 코레일과 한국철도시설공단(현 국가철도공단)으로 분리되면서 만들어졌다.

당시 철산법 38조에는 '다만, 철도시설 유지보수 시행 업무는 코레일에 위탁한다'는 단서 조항이 명시됐다. 노선 운영사업자인 코레일이 노선의 특성과 상황을 잘 알기에 시설 유지보수를 독점적으로 맡아야 안전·효율이 높다는 논리가 반영된 것이다.

 

이후 이 규정에 따라 유지보수는 코레일이, 철로 개량작업은 철도공단이 맡는 구조가 이어져 왔다.

 

철도산업발전기본법

철도산업발전기본법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그러나 지난해 1호선 한강철교 정차 사고, 영등포역 무궁화호 탈선 등 철도 사고가 잇따르면서 '안전을 위해 유지보수 업무를 코레일에서 분리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었다.

 

철도시설 관리 업무 주체가 둘로 나뉘면서 기본적인 관리도 어렵고, 사고 책임 소재를 두고서는 두 기관 사이의 공방이 커졌기 때문이다.

 

아울러 철도산업 환경이 변화한 데 따라 유지보수 업무의 다변화 필요성도 제기됐다. 코레일이 대부분의 철도 노선을 운영했던 2000년대와 달리 현재는 SR과 서울교통공사, SG레일 등 철도 운영사업자가 많이 생겨났다.

 

코레일이 운영하지 않는데도 유지보수 업무만 맡는 국가철도 구간이 계속 늘어나고 있어 20년 전의 철산법이 바뀐 상황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코레일에서 유지보수 업무를 뗄 수 있도록 하는 철산법 개정안이 지난해 12월 발의된 배경이다.

 

보스턴컨설팅그룹 용역 보고서

보스턴컨설팅그룹 용역 보고서

[국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국토부가 올 초 코레일·철도공단과 함께 보스턴컨설팅그룹(BCG)에 의뢰한 용역에서도 철도 유지보수 업무를 분리해야 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국토부는 용역 결과를 반영해 철산법 개정안에서 단서 조항을 삭제하되, 철산법 시행령에 '코레일이 운영하는 구간은 코레일에 유지보수를 계속 맡긴다'는 규정을 포함하는 '절충안'을 국회에 제안했다. 오는 19일 국토교통위원회 교통법안심사소위원회(교통소위)에 상정될 수 있도록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철산법 개정안의 국회 통과까지는 진통이 예상된다. 철도노조는 개정안이 통과되면 시설 유지보수 업무를 민간에도 위탁할 수 있게 돼 '철도 민영화'가 급물살을 탈 것이라며 격렬하게 반대하고 있다. 노조는 개정안이 국회 교통소위에 상정될 경우 총파업까지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에서도 약 4개월 뒤로 다가온 총선을 앞두고 철도노조의 반대를 의식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철도노조 소속 조합원 2만3천여명 중 39%에 달하는 9천여명이 시설유지 보수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서소문 철도건널목

서소문 철도건널목

[촬영 안철수]

 

게다가 개정안을 발의한 더불어민주당 조응천 의원은 소속 상임위원회를 옮긴 상황이다. 야당 내에서는 의견이 첨예하게 갈리는 사안 처리에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다만 오는 19일 올해 마지막 국토위 교통소위에 상정되지 않으면 현실적으로 처리가 어려워 개정 시도가 좌초될 것으로 관측된다.

 

국토위 소속 민주당 박상혁 의원은 "철산법 개정을 두고 코레일과 철도노조, 또 국토부와 철도공단 간에 극명한 의견 차이를 보이는 상황에서 국회가 어느 일방의 편을 들어 법을 통과시키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먼저 관련 이해당사자들 간에 합의를 본 뒤에 국회에서 논의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sh@yna.co.kr

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231214112700003?section=society/acciden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20 출산율 아직 바닥 아니다…출생아 연간 16만명까지 쪼그라들듯 tranghoan 2023.12.14 38
3819 "스마트 체중계 9개 중 4개, 측정 체중 정확하지 않아" tranghoan 2023.12.14 12
3818 부산항만공사 인턴 프로그램 수료자 80%가 취업 성공 tranghoan 2023.12.14 28
3817 "KTX 세종역 경제성 있어"…비용 대비 편익 높게 나와 tranghoan 2023.12.14 13
3816 넥센타이어, 가상현실 활용 디자인 품평 시스템 구축 tranghoan 2023.12.14 7
3815 국내 전기버스 시장서 중국산 점유율 50% 육박…매년 증가세 tranghoan 2023.12.14 12
3814 '근로자 사망' 석포제련소서 유해물질 생성·누출경로 합동 감식 tranghoan 2023.12.14 28
3813 울산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 작년보다 증가…언어폭력 가장 많아 tranghoan 2023.12.14 54
3812 전라고 에코시티 이전 설명회…학생·학부모 18∼19일 찬반투표 tranghoan 2023.12.14 13
3811 APEC 기후센터 "온난화로 21세기 말 국내 극심한 가뭄" tranghoan 2023.12.14 26
» 20년 된 '코레일 철도 유지보수 독점' 구조, 이번에는 깨질까 tranghoan 2023.12.14 7
3809 SPC, 아동센터·장애인 작업장 환경개선사업 완료 tranghoan 2023.12.14 9
3808 세계한인입양동포대회 폐막…"모국과 상호발전 노력" tranghoan 2023.12.14 32
3807 환자안전사고 막는다…2027년 전담인력 배치율 40% 이상으로 tranghoan 2023.12.14 108
3806 백석대, 일본 IT 계열 실습·취업 위한 현지 산업체 방문 tranghoan 2023.12.14 9
3805 김해시 고향사랑기부금 목표액 3억 달성…2천71명 기부 tranghoan 2023.12.14 38
3804 발전 연료 개별소비세 인하 6개월 연장…LNG·유연탄 15% ↓ tranghoan 2023.12.14 13
3803 정부, 유엔군 대규모 매장 위치 3곳 유력 증언 확보…조사 착수 HươngLy 2023.12.15 8
3802 김인호 교수, 사법통일 국제연구소 집행이사 연임 성공 HươngLy 2023.12.15 11
3801 윤 대통령, 네덜란드 국빈 방문 마치고 귀국 HươngLy 2023.12.15 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246 Next
/ 24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