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내년부터 대중교통비를 할인해주는 무제한 교통카드를 서울시와 경기도에서 각각 도입합니다.
인천과 김포가 기후동행카드에 참여하기로 했는데, 더경기패스와 기후동행카드를 실제 출퇴근 패턴에 적용해 보면 어떤 차이가 나는지, 구경하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리포트
수도권에선 하루 750만 명 이상이 대중교통을 이용합니다.
매일 시도 경계를 넘나들며 버스와 지하철을 갈아타다 보면 교통비가 부담이 됩니다.
[김은지/경기 수원시 : "제가 신분당선을 1주일에 서너 번 정도 타고 있는데 교통비가 아무래도 조금 비싸다 보니까 가까운 거리는 좀 걸어가게 되는 거 같아요."]
[김건호/경기 안산시 : "학교에 다녀오느라 한 달에 거의 10만 원 돈이 대중교통비로 나가긴 해요."]
내년에는 교통비를 줄여주는 무제한 교통카드가 도입됩니다.
서울시는 한 달에 6만 5천 원을 충전하면 서울 시내 대중교통을 무제한 탈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를 1월부터 시범 운영합니다.
경기도는 대중교통비 일부를 현금으로 돌려주는 국토부의 K패스에 경기도민의 혜택을 더한 더(The)경기패스를 7월 도입합니다.
역시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탈 수 있고 환급 대상을 어린이, 청소년과 30대 후반까지 넓혔습니다.
한 달에 21번 이상 대중교통을 탄다면 무제한 교통카드로 바꾸는 게 좋습니다.
한 달 교통비가 3만 1,500원 이상 8만 5천 원 사이라면 더경기패스가 유리합니다.
그보다 많이 대중교통을 탄다면 정액권인 기후동행카드가 유리합니다.
경기도의 교통량 분석에 따르면 더경기패스가 유리한 이용객이 더 많았습니다.
특히 서울과 경기를 넘나들며 환승하거나, 신분당선을 이용하면 기후동행카드는 이용할 수 없습니다.
[김상수/경기도 교통국장 : "저희 더경기패스는 경기도민이 서울과 수도권 내에서 환승하는 환승교통체계 내에서 광역버스, 신분당선, 내년 3월에 개통하는 GTX 등 모든 교통수단에 대해서 환급이 가능합니다."]
서울의 기후동행카드를 도입하기로 한 인천시는 이르면 내년 3월부터 운영하는 한편, 자체 대중교통비 지원 정책을 추가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구경하입니다.
촬영기자:강현경/영상편집:오대성/그래픽:이현종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42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