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전북 부안 '내소사 동종'이 국보로 지정됐습니다.

문화재청은 정교한 장식과 섬세한 기법으로 고려 후기 동종(銅鍾·구리로 만든 종) 가운데 최고로 꼽히는 '내소사 동종'을 국보로 지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이후 약 60년 만의 국보 승격입니다.

내소사 동종은 높이 103㎝, 입 지름 67㎝ 크기로 통일신라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고려의 특징이 드러나는 대표작으로 꼽히며, 고려 후기 동종 가운데 가장 큽니다.

종을 만든 내력이 적힌 주종기(鑄鍾記)에 따르면 이 종은 '한중서'라는 이름의 장인이 1222년 약 700근(약 420㎏)의 무게로 만든 것으로 파악됩니다.

종의 아랫부분과 윗부분에는 덩굴무늬 띠를 둘렀고 어깨 부분에는 연꽃 문양을 장식했으며, 꼭대기 부분의 장식인 용뉴는 마치 공중을 비행하는 듯 역동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문화재청은 "한국 범종의 제작 기술과 기법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라며 "봉안처, 발원자, 제작 장인 등의 내력을 정확히 알 수 있어 학술 가치가 뛰어나다"고 국보 지정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문화재청은 이와 함께 신라 금속공예의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와 '경주 서봉총 출토 금제 허리띠' 등 총 5건을 보물로 지정했습니다.

1924년 조선총독부 박물관의 발굴 조사에서 나온 금령총 허리띠는 길게 늘어뜨리는 장식 부분인 드리개가 다른 신라 무덤에서 나온 드리개보다 짧은 점이 특징입니다.

장식 크기가 작은 점을 고려하면 무덤 주인을 미성년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서봉총 출토 금 허리띠는 화려한 장식이 돋보이는 유물로, 출토된 장소가 명확하고 신라의 금 허리띠 제작 기술 흐름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부처 앞에 깨끗한 물을 담아 바치는 도구로 쓰인 것으로 추정되는 '청자 음각앵무문 정병(淨甁)'은 몸체 3곳에 날개를 활짝 편 앵무새를 음각으로 새겨 희소한 사례로 꼽히며, 고려청자 정병의 변천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됩니다.

이 밖에 조선의 개국공신인 복재(復齋) 정총(1358∼1397)의 유고 시문집인 '복재선생집', 경북 안동 선찰사의 목조석가여래좌상과 불상 안에서 나온 유물도 보물로 지정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문화재청 제공]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506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 246 Next
/ 24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