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조회 수 1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여성가족부와 고용노동부가 <2023년 여성경제활동백서>를 처음으로 발표했습니다.

관련 법이 개정되면서 정부는 올해부터 해마다 여성경제활동백서를 발간합니다.

백서를 통해 지난 10년 동안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봤습니다.

■ 여성 시간당 임금 1만 8,113원...남성의 70%

지난해(2022년) 여성 근로자의 시간당 평균 임금은 1만 8,113원으로 나타났습니다.

남성 근로자의 시간당 평균 임금 2만 5,886원의 70% 수준입니다.

같은 시간 일을 해도 여성의 남성의 70%를 받는다는 것입니다.

다만, 이 같은 임금 격차는 2012년 64.8%에서 2017년 65.9%, 2021년 69.8%, 2022년 70%로 서서히 좁아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한 달에 받는 임금 총액의 평균은 남성이 412만 7천 원, 여성은 268만 3천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 여성 정규직 시간당 임금은 비정규직의 1.3배

정규직과 비정규직 여성 임금의 차이도 컸습니다.

지난해 정규직 여성의 시간당 임금은 1만 9,594원이고 비정규직 여성의 시간당 임금은 1만 4,588원이었습니다. 정규직 여성이 비정규직 여성보다 1.3배가량 많이 받았습니다.

지난 10년 동안 임금이 얼마나 올랐는지를 봤더니, 비정규직 여성의 임금은 정규직 여성보다 더디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정규직 여성은 10년 전보다 시간당 7,315원을 더 받았는데 비정규직 여성의 임금은 같은 기간 5,617원 오르는 것에 그쳤습니다.

■ 여성 고용률 52.9%...남성과 18.6%p 격차

지난해 여성 취업자 수는 1,216만 명. 여성의 고용률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의 비율)은 52.9%로 나타났습니다.

2012년 48.6%에서 완만하게 오르고 있습니다.

남성과의 고용률 성별 격차는 2012년 22.5%p에서 지난해 18.6%p로 서서히 줄었습니다.
 


다만 이 격차는 여성이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이 단절되는 35~39세 사이에 30%p 이상으로 두드러졌습니다.

35~39세 30.7%p, 40~44세 27.3%p, 45~49세 25.3%p 순으로 격차가 컸습니다.

경력 단절 여성의 규모는 2014년 216만여 명에서 지난해 139만여 명으로 점차 줄었습니다.

지난해 여성의 경력 단절 사유는 육아가 42.7%로 가장 많았고 결혼 26.3%, 임신과 출산 22.8% 순이었습니다.

2014년과 비교했을 때 결혼 사유는 크게 감소했지만 육아 사유는 크게 늘었습니다.

결혼 이후 일을 그만두는 경우는 줄었지만, 육아는 여전히 여성이 경력을 이어가는 데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 겁니다.
 

■ 공공기관 임원 중 여성 23.6%…지방 공기업은 12.9%

공공부문에서 여성 관리자의 비율이 얼마나 늘었는지 살펴보니 공공기관 임원은 2018년 17.9%에서 지난해 23.6%로 늘었습니다.

공공기관 관리자급으로 범위를 넓히면 여성 관리자 비율은 2018년 23.8%에서 지난해 28.8%로 늘었습니다.

다만 지방공기업의 여성 관리자 비율은 12.9%로 공공기관 임원이나 관리자 비율과 비교했을 때 여전히 낮았습니다.


정부는 여성 경제활동과 관련한 정책을 수립할 때 기초자료로 이 백서를 활용할 계획입니다.

여성경제활동백서는 여성가족부와 고용노동부 누리집에서 파일 형태로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5149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00 '단일화 반발' 이상헌, 민주 탈당…"울산북구 무소속 출마" Vyvy 2024.02.28 38
3399 내일 쌍특검법 재표결, 野 선거구획정 연계에 무산 가능성(종합) Vyvy 2024.02.28 12
3398 선거구 획정 막판 담판 불발…2월 임시국회 처리 사실상 무산(종합) Vyvy 2024.02.28 24
3397 양대 노총, 총선 앞 영향력 확대 모색…"반노동 후보 심판"(종합) Vyvy 2024.02.28 127
3396 부산 현역 이헌승·백종헌 본선행…전봉민·이주환 탈락 Vyvy 2024.02.28 11
3395 尹대통령 "北, 총선 전 다양한 도발과 심리전 펼칠 가능성 높아" Vyvy 2024.02.28 10
3394 홍영표 "전략 지역구 지정, 부당"…안민석·변재일도 반발 Vyvy 2024.02.28 11
3393 與 주호영·김기현·김은혜·장예찬 경선 승리…현역 4명 탈락(종합) Vyvy 2024.02.28 427
3392 '단일화 반발' 이상헌, 민주 탈당…"울산북구 무소속 출마" Vyvy 2024.02.28 14
3391 임종석 전 비서실장, 오늘 기자회견…‘공천 컷오프’ 입장 주목 Vyvy 2024.02.28 32
3390 한 총리, 의사 집단행동 대응 중대본회의 주재 Vyvy 2024.02.28 40
3389 한 총리, 의사 집단행동 대응 중대본회의 주재 Vyvy 2024.02.28 29
3388 국민의힘, ‘경선 포기’ 박민식 전 장관 수도권 등 재배치 검토 Vyvy 2024.02.28 27
3387 고수익 준다더니 여권 뺏고 감금…동남아서 구출된 한국인 1월에만 38명 Vyvy 2024.02.28 21
3386 민주당 박영훈, 공정성 논란에…“책임지고 전략공천관리위원 사퇴” Vyvy 2024.02.28 21
3385 한미 국방장관 공조 통화…“러북 불법 무기 거래에 엄정 대처” Vyvy 2024.02.28 20
3384 ‘비명계’ 설훈 민주당 탈당…“이재명 방탄만 생각하는 당” Vyvy 2024.02.28 72
3383 홍익표 “통계조작 의혹, 尹정부 자작극…편집증적 정치 보복” Vyvy 2024.02.28 42
3382 한 총리 “2·28 정신 이어 공정·상식의 민주주의 사회 만들 것” Vyvy 2024.02.28 399
3381 한미, 다음달 4∼14일 '자유의 방패' 연습…야외기동훈련 확대 Vyvy 2024.02.28 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246 Next
/ 24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