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경기도에는 과학고등학교가 하나밖에 없어 다른 시도의 과학고보다 입시 경쟁률이 높은 편입니다.
이 때문에 과학고를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데, 유치를 희망하는 지역들의 경쟁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윤나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기 부천지역에 있는 과학 중점 인문계 고등학교입니다.
지난달 15일 과학고로 전환을 추진한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학교와 교육지원청, 시청, 시의회가 업무협약을 맺고 기반시설 확충과 기숙사 건립 등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김영찬/부천고 교장 : "(과학고 신설 대신) 전환을 하게 될 경우에는 그런 시간과 비용이 대폭 절감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부천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도 함께 교육적인 역할, 역량을 재고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고양시는 지역 시민 등으로 구성된 '특목고 추진단'까지 마련해 유치 활동을 진행 중입니다.
자체적으로 시민 여론조사와 연구 용역까지 진행해 고양시 유치 필요성을 알리고 있습니다.
[김영남/고양시 교육문화국장 : "(지난해에) 학교용지확보, 정책 홍보, 특목고 설립 추진단 구성, 지역 대학 연계 연구 융합 추진 등 다방면으로 과학고 유치 활동을 추진했습니다."]
시흥시도 지난달 공식적으로 과학고 설립 건의서를 도 교육청에 전달했고, 용인시와 성남시 등 4개 지자체도 유치를 희망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현재 경기 지역 과학고는 경기북과학고등학교 한 곳뿐.
인구 대비 학교가 적다 보니 경쟁률이 전국 평균의 2배가 넘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특목고 진학을 위해 어쩔 수 없이 서울 등 인근 지역으로 전학을 가는 경우도 생겨나고 있습니다.
[김수진/경기 고양시 학부모 : "저희 아이 같은 경우도 초등학생, 중학생이 현재 과학고를 가기 위해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경기)북과고 이외에는 갈 곳이 없거든요. 결국은 저희가 고양시를 떠나야 하는 상황이 발생 되기도 하죠."]
경기도교육청은 관련 용역 연구조사는 마친 상태지만, 아직 신설 여부도 불투명한 상황에서 지자체 간 유치 경쟁이 과열될까 조심스럽다는 입장입니다.
또 조만간 교육부와 협의를 통해 구체적인 추진 계획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윤나경입니다.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588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