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조회 수 2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앵커


어제 유엔에서는 중국의 인권 상황을 점검하는 공개 회의가 열렸습니다.

유엔 회원국이라면 정기적으로 참여해야 하는 '정례 인권 검토'인데요,

우리 정부는 중국 정부가 탈북민을 보호할 수 있는 적절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김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4년 반마다 돌아가면서 유엔 회원국의 인권 상황을 점검하는 보편적정례인권검토(UPR), UN 회원국들은 이번 검토 대상인 중국을 향해 다양한 인권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우리 정부는 중국 정부가 탈북민에 대해 적절한 보호 방안을 마련하고 강제송환 금지 원칙을 존중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지난해 10월 국경 지역에 수감 돼 있던 탈북민 수백 명이 전격 강제 북송되는 등, 탈북민들의 인권이 보호받지 못했단 점을 지적한 겁니다.

[윤성덕/주제네바 한국대표부 대사 : "We recommend that China provide adequate protection to defectors of foreign origin, including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우리 정부가 UN 정례인권검토에서 중국에 탈북민 문제를 제기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정부는 또 중국이 유엔 '난민 협약'에 입각해 난민법을 제정하는 방안도 고려해 보라고 권고했습니다.

중국이 탈북민은 '불법 체류자'일 뿐 '난민'이 아니라는 논리로 강제북송을 정당화하고 있는 점을 지적한 것으로 보입니다.

["We further recommend that China consider adopting additional refugee law as part of its efforts to implement the 1951 Refugee Convention."]

반면 북한은 중국의 인권 상황이 수준 높다고 추켜세웠습니다.

[방광혁/주제네바 북한대표부 차석대사 : "ensured the equal enjoyment of human rights and achieved advancement of common prosperities through the Chinese past to modernization."]

회의에선 신장과 티벳 소수민족 탄압 문제와 홍콩 정치적 자유 제한 문제 등이 폭넓게 제기됐습니다.

다만 탈북민에 대한 문제 제기는 한국 외에는 거의 없어, 국제 사회의 관심을 더 끌어올릴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영상편집:김대범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7362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80 ‘젊은 당뇨’ 가 더 무섭다 HươngLy 2024.01.28 36
2579 하찮은 음식 ‘시래기’…건강에는 최고의 선택 HươngLy 2024.01.28 757
2578 ‘화로’ 사용은 피하고 경보기 달아야 HươngLy 2024.01.28 38
2577 동해안, 건조주의보 계속…높은 너울 주의 HươngLy 2024.01.28 15
2576 새벽 제주·호남 서해안 비나 눈…중부 미세먼지 ‘나쁨’ HươngLy 2024.01.28 119
2575 겨울마다 10만 톤씩 뿌리는데…저감 대책은? HươngLy 2024.01.28 24
2574 잇따른 고령층 화재 사망…빠른 대피 어려워 HươngLy 2024.01.28 352
2573 [재난·안전 인사이드] 심혈관질환 겨울에 증가 HươngLy 2024.01.28 30
2572 또 해커에 털린 공공기관…26만 명 개인정보 유출 HươngLy 2024.01.28 14
2571 인구 3만에 방문객은 5만…인제 도서관의 기적 HươngLy 2024.01.28 81
2570 서귀포 해상서 어선 침몰해 2명 실종…이틀째 수색 HươngLy 2024.01.28 32
2569 ‘공항·철창’…작은 단서가 한파 속 치매 노인 살렸다 HươngLy 2024.01.28 40
2568 새 학기부터 서울 초·중·고 학교폭력 ‘전담조사관’이 맡는다 HươngLy 2024.01.28 65
2567 ‘키 크는 주사’ 처방 증가…이상사례 보고도 5년간 5배↑ HươngLy 2024.01.28 465
2566 서울시, 서울사랑상품권 사용처 ‘소상공인’ 중심으로 개편 HươngLy 2024.01.28 128
2565 “개인컵 쓰고 서울페이 결제하면 포인트 300원”…서울시 ‘다회용기 확대’ HươngLy 2024.01.28 142
2564 국민건강영양조사 시작…골밀도·노인생활기능 검사 도입 HươngLy 2024.01.28 48
2563 ‘늘봄 확대’ 학부모들 반색…교사들 “아직 안돼” HươngLy 2024.01.28 33
2562 설 연휴 앞두고 고속도로 휴게소 등 공중화장실 점검 HươngLy 2024.01.28 33
2561 행안부, 지역사랑상품권 예산 상반기 1500억 원 집행 HươngLy 2024.01.28 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 246 Next
/ 24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