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증상이 무겁든 가볍든 수도권 대형병원만 찾는 쏠림 현상을 줄이기 위해 정부가 경증 환자는 거주지 병원으로 돌려보내는 정책을 시작하기로 했습니다.
대형병원은 중증 환자 진료에 집중하도록 하겠다는 겁니다.
한승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전국에서 온 환자들로 진료 대기실이 가득 찼습니다.
상급종합병원인 이곳엔 외래 환자만 하루에 9천 명이 몰립니다.
["지금 저희 병원이 많이 밀려가지고 외부 병원으로 가까운 데로 저희가 안내를 해드릴게요."]
중증도가 낮은 환자는 거주 지역 의료기관으로 보내고 있습니다.
[지역 의료기관 회송 환자 : "난 멀리서 올라오게 되니까 지역에서 할 수 있으면 좋죠. 지금 상태가 좋다고 그러니까 괜찮을 것 같아 보입니다."]
상급병원이 중증 질환 진료라는 본래 기능에 집중하도록 경증 환자는 지역 의료기관으로 돌려보내는 시범사업이 이달부터 시작됐습니다.
삼성서울병원과 인하대병원, 울산대병원 등 상급종합병원 3곳이 참여했습니다.
경증 외래 환자가 쏠리면서 중증 환자가 제때 충분히 진료받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겁니다.
[이상철/삼성서울병원 커뮤니케이션실장 : "중증 환자들만을 목표로 해서 관리할 수 있는 의료 전달 체계를 제대로 정립하는 데 일조를 하고자..."]
어떤 환자를 돌려보낼지 판단은 의료진 몫인데, 환자 동의 없이 강제로 돌려보낼 수는 없습니다.
복지부는 돌려보낸 환자가 안정적으로 진료받을 수 있도록 정보 공유 체계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상급종합병원 진료가 필요하면 '우선 진료' 가능한 시스템도 마련할 계획입니다.
참여 병원들에서 외래 환자를 돌려보내 생기는 손실은 건강보험 재정으로 보상합니다.
한해 900억 원씩, 4년간 3,600억 원 투입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한승연입니다.
촬영기자:김정은 최연송/영상편집:김근환/그래픽:고석훈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757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