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전국에서 미군부대가 가장 집중된 경기도에는 기지촌 여성들이 인권을 유린당한 아픈 역사가 있습니다.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아픈 역사의 현장들이 지자체들의 개발 계획으로 사라질 위기에 처했습니다.
구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캠프 스탠리 옆 단층 건물, 반세기 전 기지촌 여성들이 강제로 검사를 받던 성병진료소입니다.
[박OO/'기지촌' 피해 여성 : "국가에서 '너희들이 검진 열심히 해가지고 미군들한테 성매매 열심히 해서 달러 많이 벌어라.' 이렇게 만든 장소예요. 이 장소가."]
여성공동체 '두레방'은 37년 전 이곳에서 기지촌 여성들에게 손을 내밀었습니다.
제빵 기술을 나눠 자립할 힘을 기르고 아이를 함께 키우며 치유와 회복을 도왔습니다.
2022년에는 기지촌 여성들에게 국가가 손해배상을 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을 이끌어냈습니다.
[박OO/'기지촌' 피해 여성 : "저희 집 같은 장소예요. 마음의 고향 같은 곳. 여기는 살아있는 역사예요. 이 건물은 없어져서도 안 되고 남한테 넘어가서도 안 돼요."]
그런데 건물주인 의정부시가 두레방에 마을을 떠나라고 요구했습니다.
도시재생사업에서 주민들이 사업할 공간이 필요하니 지금 사용하는 건물을 비우고 다른 장소로 이전해 달라는 겁니다.
[허남준/의정부시 도시재생과장 : "활성화를 위해서 양보를 했으면 하는 거고요, 다른 지역으로 이전할 경우에는 여성보육과에서 거기에 대한 충분한 지원을 마련하는 것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사실상 미군 위안부였던 기지촌 여성들.
두레방은 생존자 25명이 여전히 마을에 있다며, 이전할 수 없단 입장입니다.
[김은진/두레방 원장 : "두레방은 두레방 여성들이 이곳 빼벌마을에 단 한 분이라도 살아계시는 한, 곁에서 지속적인 지원과 지지를 담당해야 하는 설립목적이 분명한 단체임을 분명히 밝힙니다."]
동두천에 있던 성병관리소도 시가 소요산 개발을 추진하면서 철거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안태윤/박사/전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선임연구위원 : "우리가 지나간 역사에 대해서 여성 인권에 대한 문제를 다시 돌아보고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면 좋겠다, 그래야만 한다고 생각하는데요."]
지자체가 미군 위안부 기념사업을 하도록 한 지원법이 나왔지만 국회에선 3년째 상임위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구경하입니다.
촬영기자:김정은 홍성백/영상편집:오대성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75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