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조회 수 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앵커


대책이 시급한 문제가 있습니다.

외딴 지역 노인들만 사는 집에 불이 나면 빠른 대피 어려운 경우 상당히 많습니다.

실제로 이런 일이 있었습니다.

목숨까지 잃었습니다.

윤양균 기자가 이 문제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불빛 한 점 없는 시골길 끝에서 시뻘건 불길이 치솟습니다.

외딴 2층 주택에서 불이 난 겁니다.

불은 2시간 반 만에 꺼졌지만, 2명이 숨졌습니다.

집에 살던 70대 할머니와 80대 할아버지였습니다.

할머니는 혼자 걷기도 힘든 상태였습니다.

[장운달/화재 피해자 지인 : "평소에도 겨우겨우 다녀요. 남편이 이렇게 손으로 붙잡고 이렇게 다니고. 놀라고 말고 뭐 어제는 한참 울었다고요."]

같은 날 새벽 강원도 춘천의 한 주택에서도 불이 났습니다.

일가족 5명 가운데 4명은 대피했지만 나머지 1명, 90대 할머니만 숨졌습니다.

[박희숙/화재 피해자 이웃주민 : "근력이 없다니깐. 골반을 다쳐 가지고. 여기도 지팡이 짚고서 간신히 운동 삼아 나왔다 들어가시고. 못 나오셔."]

이처럼 주로 외딴 지역, 노인들이 사는 주택에서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최근 5년간 전국 단독주택의 화재 사망자를 보면 10명 가운데 6명이 65살 이상 고령층이었습니다.

최근 고령 인구가 증가하고 있고 혼자 사는 노인이 많아지면서 피해가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송규/한국안전전문가협회장 : "노약자의 경우 인지 능력이나 운동신경이 떨어져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 되면 빠른 대응이 어렵기 때문에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 될 수가 있습니다."]

도심 지역의 경우, 화재 신고 뒤 골든타임인 7분 이내에 소방차가 도착하는 비율이 90%에 달합니다.

하지만 도심과 떨어진 곳은 그 절반인 40% 대에 그쳐 초기 대응도 쉽지 않습니다.

화재 취약 지역과 계층에 대한 조사와 대책 마련이 필요해지고 있습니다.

출처: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76880


  1. ‘젊은 당뇨’ 가 더 무섭다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34
    Read More
  2. 하찮은 음식 ‘시래기’…건강에는 최고의 선택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124
    Read More
  3. ‘화로’ 사용은 피하고 경보기 달아야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38
    Read More
  4. 동해안, 건조주의보 계속…높은 너울 주의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15
    Read More
  5. 새벽 제주·호남 서해안 비나 눈…중부 미세먼지 ‘나쁨’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7
    Read More
  6. 겨울마다 10만 톤씩 뿌리는데…저감 대책은?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22
    Read More
  7. 잇따른 고령층 화재 사망…빠른 대피 어려워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7
    Read More
  8. [재난·안전 인사이드] 심혈관질환 겨울에 증가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30
    Read More
  9. 또 해커에 털린 공공기관…26만 명 개인정보 유출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14
    Read More
  10. 인구 3만에 방문객은 5만…인제 도서관의 기적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10
    Read More
  11. 서귀포 해상서 어선 침몰해 2명 실종…이틀째 수색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32
    Read More
  12. ‘공항·철창’…작은 단서가 한파 속 치매 노인 살렸다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38
    Read More
  13. 새 학기부터 서울 초·중·고 학교폭력 ‘전담조사관’이 맡는다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11
    Read More
  14. ‘키 크는 주사’ 처방 증가…이상사례 보고도 5년간 5배↑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18
    Read More
  15. 서울시, 서울사랑상품권 사용처 ‘소상공인’ 중심으로 개편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44
    Read More
  16. “개인컵 쓰고 서울페이 결제하면 포인트 300원”…서울시 ‘다회용기 확대’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138
    Read More
  17. 국민건강영양조사 시작…골밀도·노인생활기능 검사 도입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47
    Read More
  18. ‘늘봄 확대’ 학부모들 반색…교사들 “아직 안돼”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33
    Read More
  19. 설 연휴 앞두고 고속도로 휴게소 등 공중화장실 점검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32
    Read More
  20. 행안부, 지역사랑상품권 예산 상반기 1500억 원 집행

    Date2024.01.28 ByHươngLy Views2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 246 Next
/ 246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