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백악관·국무부, '올해 18개국 GDP 2% 국방지출' 나토 발표에 맞장구

설리번, '차관 형식으로만 대외 지원' 트럼프 주장도 조목조목 반박

미국 국무부 청사 전경

미국 국무부 청사 전경

[연합뉴스 자료사진]

(워싱턴=연합뉴스) 조준형 강병철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의 방위비 증액 압박 발언이 큰 파장을 일으킨 가운데 나토와, 나토의 핵심인 미국이 나토 옹호에 나섰다.

매슈 밀러 국무부 대변인은 14일(현지시간) 정례 브리핑에서 "나토는 미국에 거대한 혜택과 안정을 주는 동맹"이라며 "그것이 우리가 의회에서뿐 아니라 미국민 사이에서 (나토에 대해) 견고하고, 오래 지속되고, 광범위한 지지를 목도해온 이유"라고 말했다.

밀러 대변인은 올해 31개 회원국 가운데 18개국이 국내총생산(GDP)의 2%를 방위비로 지출한다는 공약을 이행할 것이라는 나토의 이날 발표에 대해 "우리는 그 나라들의 목표를 향한 진전을 계속 볼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아직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나라들에 계속 달성을 위한 조처를 취해 나가길 촉구할 것"이라고도 말했다.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이날 브리핑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한 뒤 (방위비 목표) 2%에 도달한 국가가 9개국에서 18개국으로, 3년 만에 두배가 됐다"라면서 "나토 동맹이 75년간 어느 때보다 더 크고 강하고 중요해졌다"라고 말했다.

이어 "나토는 이전에 없는 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는 계획을 토대로 동부 및 남부 지역의 방어와 억제를 강화하고 있다"라면서 "나토 동맹은 근래에는 전례가 없는 방식으로 단결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바이든 대통령은 이 문제에 대해 어떤 입장인지 분명히 해왔다"라면서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 국민도 자신과 함께 나토 및 범대서양 단결을 위해 굳건히 서 있다고 믿고 있다"고 강조했다.

바이든 정부의 이 같은 공개 입장은 나토 측이 트럼프 전 대통령의 압박성 발언에 대응해 국방비 지출 증가 추세를 거론하며 사실상 반박한 데 대해 '맞장구'를 친 것으로 풀이된다.

나토는 이날 'GDP의 2% 국방비 지출'이라는 목표를 달성한 나라가 올해의 경우 2014년의 6배인 18개국으로 늘어날 것이라며 트럼프 전 대통령의 나토 관련 발언에 이의를 제기했다.

앞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10일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열린 대선 후보 경선 유세에서 자신이 대통령 재임 때 나토의 한 동맹국 정상과 나토 회의 중에 한 대화를 소개하면서 '문제 발언'을 했다.

당시 트럼프 전 대통령은 "한 큰 나라의 대통령이 일어나서 '만약 우리가 돈을 내지 않고 러시아의 공격을 받으면 당신은 우리를 보호해 주겠느냐'고 하자 나는 (중략) '당신네를 보호하지 않을 것이다. 실제로 나는 그들(러시아)이 원하는 것을 내키는 대로 모조리 하라고 격려할 것'이라고 했다"고 말해 논란을 야기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같은 날 소셜미디어에 올린 글에서 미국 의회에 계류된 대규모 패키지 지원 예산안과 관련, 대외 원조는 차관 형식으로만 지원돼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설리번 보좌관은 브리핑에서 "가자지구에 있는 팔레스타인 어머니에게 의료품을 구하기 위해서는 대출을 받아야 한다고 할 수 있겠느냐"라면서 인도 지원의 경우 차관 형식이 적용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목숨을 걸고 싸우는 우크라이나와 같은 국가에 대응할 때 해당 국가는 경제가 계속 유지돼야 한다"라면서 "필요한 돈을 공급하는 대신 차관에 대해 말하는 것은 우리가 이 국가의 경제를 개선하려고 할 때 경제 문제를 악화시키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이어 초당적인 대(對)이스라엘 안보 지원을 거론하면서 "도널드 트럼프는 그 돈을 차관 형식으로만 제공해야 한다는 것인지 묻고 싶다"라면서 "이 질문에 대해서 다른 접근법을 취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jhcho@yna.co.kr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40215005451071?section=international/al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47 우크라 원조는 어쩌고…美하원 조기휴회에 백악관 발끈 Vyvy 2024.02.16 499
1146 韓창작무용 '야라스', 현대무용 중심지 브뤼셀서 선보여 Vyvy 2024.02.15 245
1145 日관방장관 "北 납치 일본인 문제 해결은 국가적 과제" Vyvy 2024.02.15 677
1144 '연립정부 협상' 파키스탄서 옥중 前총리도 차기 총리 후보 지명 Vyvy 2024.02.15 44
1143 NHK "북한, 애국가에서 한반도 지칭 '삼천리' 단어 삭제" Vyvy 2024.02.15 338
1142 후쿠시마 원전 장치 오염수 7일 누출은 밸브 열고 작업한 탓 Vyvy 2024.02.15 1036
1141 러 “우크라, 벨고로드 쇼핑센터 공습…5명 사망·18명 부상” Vyvy 2024.02.15 525
1140 미 “예멘 반군행 이란 무기 압수…미사일 부품 등 포함” Vyvy 2024.02.15 43
1139 EU 공급망실사법 최종 승인 표결 또 잠정 연기 Vyvy 2024.02.15 1015
1138 이도훈 주러대사, 러 외무차관과 면담…한반도 상황 논의 Vyvy 2024.02.15 1646
1137 [한·쿠바 수교] 美 "외교관계 결정할 한국의 주권 존중" Vyvy 2024.02.15 590
1136 [뉴욕유가] 원유재고 큰 폭 증가에 8일 만에 하락 Vyvy 2024.02.15 739
1135 러 우주 핵무기?…美하원 '심각 안보위협' 공개언급에 관심집중 Vyvy 2024.02.15 19
1134 [한·쿠바 수교] "韓, 냉전시대 北동맹국 쿠바와 수교"…외신도 주목 Vyvy 2024.02.15 865
» 바이든 정부 "美도 나토 수혜"…'러 침략 권고' 트럼프발언 반박(종합) Vyvy 2024.02.15 115
1132 "하마스 지도자 신와르, 이스라엘 공격 후폭풍 예상 못했다" Vyvy 2024.02.15 57
1131 "고추 매운 성분 캡사이신, 신경 통증 완화" Vyvy 2024.02.15 1218
1130 한계에 달한 아마존 생태계…"2050년께 급격 붕괴할 수도" Vyvy 2024.02.15 160
1129 미국 원유 재고 증가에 국제유가 1달러 넘게 하락 Vyvy 2024.02.15 734
1128 홍콩서 떠나는 외국인…국제학교 30%, 외국학생 지원 급감 전망 Vyvy 2024.02.15 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 153 Next
/ 1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