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모든 병력과 수단 동원해 러 제지, 가능한 모든 시나리오 고려"

美백악관 "러 수중에 떨어질 위험…우크라 방어선 제압하기 시작"

러시아 포격에 폐허 된 아우디이우카 시내 건물

러시아 포격에 폐허 된 아우디이우카 시내 건물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이스탄불=연합뉴스) 김동호 특파원 = 우크라이나가 동부 요충지 아우디이우카 사수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우크라이나 동남부 타우리아 작전전략군의 사령관 올렉산드르 타르나우스키 준장은 16일(현지시간) 새벽 성명을 통해 "15일 23시 현재 아우디이우카 상황은 어렵지만 통제되는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도시 내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고 있다"며 "가능한 모든 병력과 수단을 동원해 적을 제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계획대로 부대 증원이 이뤄지고 있으며 탄약 등도 추가 보급이 이뤄졌다"며 "가능한 모든 시나리오를 고려해 새 진지를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전날 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도 정례 연설에서 아우디이우카 상황을 거론하면서 "우리 장병이 최대한 많은 우크라이나인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올렉산드르 시르스키 우크라이나군 신임 총사령관도 지난 14일 가장 먼저 도네츠크 전선으로 달려가 루스템 우메로우 국방장관과 함께 지휘소를 시찰하고 아우디이우카, 쿠피안스크, 리만 등 지역 전황을 보고받았다.

15일(현지시간) 아우디이우카에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15일(현지시간) 아우디이우카에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주(州)의 한복판에 있는 아우디이우카는 도네츠크의 러시아 통제 지역과 가까운 요충지로 개전 초기부터 교전이 잦았다.

러시아군은 지난 수개월간 이곳에 병력을 집중해 최근에는 이 지역을 3개 방면에서 에워싸는 물량 공세로 수적 우위를 점하면서 작년 바흐무트에 버금가는 격전이 벌어지는 양상이다.

우크라이나군의 방어에도 최근 러시아군이 점차 우위를 보이면서 작년 우크라이나가 바흐무트를 점령당한 일이 되풀이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 존 커비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소통보좌관은 전날 브리핑에서 "러시아군이 아우디이우카의 10개 지점으로 진격하면서 방어선을 제압하기 시작했다"며 "러시아의 수중에 떨어질 위험에 처해 있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측이 탄약 지원 등을 호소하고 있지만 미국 의회에서 우크라이나 군사 지원을 위한 예산안 통과가 지연되면서 전황은 더욱 악화한다는 것이 커비 보좌관의 설명이다.

AFP 통신은 "러시아는 몇 달 동안 아우디이우카를 점령하려고 노력했으며 이곳을 함락한다면 중요한 상징적 승리가 될 것"이라며 "작년 5월 바흐무트를 차지한 이후 가장 중요한 영토 확보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 첫해인 2022년 7월부터 동부 요충지 바흐무트 공략에 나서 10개월 만인 지난해 5월 마침내 이곳을 점령했으며 양측 모두 엄청난 병력 손실을 봤다.

당시 바흐무트 전투를 주도한 러시아 민간 용병기업 바그너그룹의 수장 예브게니 프리고진은 바흐무트에서만 우크라이나군 5만명과 바그너 대원 2만명이 사망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dk@yna.co.kr

아우디이우카 전선에 배치된 우크라이나 47기계화보병여단 소속 브래들리 전투차량

아우디이우카 전선에 배치된 우크라이나 47기계화보병여단 소속 브래들리 전투차량

[AFP=연합뉴스]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40216138200108?section=international/all


  1. '실패 1년만에' 日 신형 H3로켓 발사 성공…"위성발사 사업참여"(종합2보)

    Date2024.02.17 ByVyvy Views64
    Read More
  2. '바이든 부자 우크라 업체 뇌물수수설' 주장한 FBI 정보원 기소

    Date2024.02.16 ByVyvy Views287
    Read More
  3. 中, 작년 아프리카 일대일로 투자 114% 증가…총 29조원

    Date2024.02.16 ByVyvy Views81
    Read More
  4. 미 애틀랜타 연은 총재 "금리인하 서두를 필요 없어"

    Date2024.02.16 ByVyvy Views502
    Read More
  5. 日후쿠이현 연구용 원자로 건물서 불…소화기로 진화

    Date2024.02.16 ByVyvy Views662
    Read More
  6. 美 이어 日증시도 '신고가 행진'…코스피 1%대 상승

    Date2024.02.16 ByVyvy Views274
    Read More
  7. 'SF 노벨상' 휴고상, 中 눈치보기?…"민감 작가 최종후보 제외"

    Date2024.02.16 ByVyvy Views58
    Read More
  8. 국내서 '美국채 불티'…8개 증권사 연초 개인 판매액 1.3조(종합2보)

    Date2024.02.16 ByVyvy Views1044
    Read More
  9. 베네수엘라, 유엔 인권사무소 폐쇄…"식민주의적 태도 고쳐라"

    Date2024.02.16 ByVyvy Views411
    Read More
  10. CNN "미국 영향력 약화 등 국제정세에 대담해진 김정은"

    Date2024.02.16 ByVyvy Views206
    Read More
  11. 日 "김여정 '납치문제 해결' 주장 수용 못해…한미와 협력 대응"(종합)

    Date2024.02.16 ByVyvy Views318
    Read More
  12. 세네갈 헌법위원회, '대선 연기' 대통령 명령 뒤집어

    Date2024.02.16 ByVyvy Views284
    Read More
  13. 美유권자 48% "바이든, 11월 대선전 건강탓 낙마 가능성"

    Date2024.02.16 ByVyvy Views1551
    Read More
  14. 트럼프 필두로…세계 각국 뒤흔드는 '국가주의적 보수주의'

    Date2024.02.16 ByVyvy Views48
    Read More
  15. '제2 바흐무트' 위기…우크라, 격전지 아우디이우카 사수 총력

    Date2024.02.16 ByVyvy Views967
    Read More
  16. 뮌헨안보회의 개막…우크라·가자 전쟁 해법 논의

    Date2024.02.16 ByVyvy Views815
    Read More
  17. "中공산당 전복 메시지"…홍콩, 78세 민주활동가에 징역 9개월

    Date2024.02.16 ByVyvy Views645
    Read More
  18. 생리휴가 도입 부결한 프랑스 상원…"고용차별 우려"

    Date2024.02.16 ByVyvy Views34
    Read More
  19. 대만, 인도 이주노동자 데려오기로…"노동력 부족 해소"

    Date2024.02.16 ByVyvy Views57
    Read More
  20. [1보] "'푸틴 정적' 러 야권 운동가 나발니 옥중 사망"

    Date2024.02.16 ByVyvy Views419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 153 Next
/ 1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