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조회 수 8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에너지·통신 등 우리 기업 진출 기대…의학·바이오 협력 가능성

한인후손·독립운동가에 보훈정책 추진…한류 확대·스포츠 협력도

한·쿠바, 첫 외교장관회담

한·쿠바, 첫 외교장관회담

(서울= 연합뉴스) 한국과 쿠바가 14일 외교관계 수립을 발표하면서 미수교국 쿠바를 향해 오랫동안 공들여온 정부의 외교적 노력이 드디어 결실을 보게 됐다.
미국 뉴욕에서 양국 주유엔대표부가 대사급 외교관계 수립에 합의했다는 소식은 예고 없이 한국 시간 이날 늦은 밤 전격적으로 발표됐다.
지난 2016년 6월 5일(현지시간)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쿠바 컨벤션 궁에서 브루노 로드리게스 쿠바 외교장관이 양국간 첫 공식 외교장관 회담을 하고 있다. 2024.2.15 [연합뉴스 자료사진]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동환 기자 = 대통령실은 18일 우리나라와 최근 외교 관계를 맺은 쿠바에 대해 "이차전지 생산에 필수적인 니켈과 코발트의 주요 매장지로서 광물 공급망 분야 협력의 잠재력이 다대하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은 이날 '한-쿠바 수교에 따른 분야별 기대효과'라는 보도자료를 통해 "미국 제재 해제 시 신흥시장으로 부상 가능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쿠바는 니켈 생산량이 세계 5위, 코발트 매장량 세계 4위다.

대통령실은 "쿠바는 미국의 금수조치로 기본 생필품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생활용품·전자제품·기계설비 등 분야에서 우리 기업의 진출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향후 공식 경제협정 등 체결로 우리 기업의 제약을 해소하고, 공관 개설을 통해 우리 기업의 진출 과정에 대한 면밀한 현지 지원도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대통령실은 또 "쿠바는 만성적 전력 위기 타개를 경제 회복의 최우선 과제로 삼고 발전 설비 확대와 신재생 에너지 확대를 모색 중"이라며 발전기·플랜트 등 에너지 분야에 강점을 가진 우리 기업들의 쿠바 진출 가능성을 내다봤다.

아울러 ODA(공적개발원조) 제공 등 본격적 개발협력 원조가 기대되고, 이와 연계한 통신·식량 분야 등 우리 기업의 진출 확대도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세계적 수준의 의료·바이오 산업 경쟁력을 보유한 쿠바의 전문인력 활용, 임상의료 분야 공동 R&D(연구개발) 등 협력 가능성도 열어놨다.

쿠바가 생산하는 해삼·시가·럼주 등 관련 농수산물 수출 확대도 전망했다.

대통령실은 "쿠바는 그동안 외교관계 부재로 미개척 시장으로 남아있던 상황"이라며 "현재는 미국의 제재로 직접 교역은 상당히 제한되지만, 이번 수교 및 향후 상주 공관 개설을 계기로 차근차근 경제협력 확대 기반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2024년에 홍보하는 '갤럭시 S9'

2024년에 홍보하는 '갤럭시 S9'

(아바나=연합뉴스) 이재림 특파원 = 15일(현지시간) 쿠바 아바나 한 휴대전화 매장에 2018년 글로벌 출시된 삼성 갤럭시 S9 홍보물이 놓여 있다. 2024.2.16 walden@yna.co.kr

우리 정부는 향후 공관 개설을 통해 체계적 영사 조력을 제공할 방침이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는 연간 약 1만4천명의 우리 국민들이 쿠바를 방문해왔다.

지금까지는 공관 부재로 현지 영사협력원, 코트라 무역관이 간접적으로 영사 조력을 제공해왔다. 중대 사건·사고 시에는 주멕시코 대사관 영사를 파견했다.

대통령실은 "수교에 따라 관광객 증가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향후 공관 개설 시 사건·사고 발생 관련 24시간 영사조력을 즉각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쿠바인들의 한국 방문을 위한 비자 신청도 더 편리해질 전망이다.

정부는 그간 미수교로 소외됐던 쿠바 한인 후손과 독립유공자 대상 보훈 정책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대통령실은 한류가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쿠바에서 한류 확산 활동을 전개하고, 야구·배구 등 스포츠 강국인 쿠바와 스포츠 협력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그래픽] 쿠바 국가 개관

[그래픽] 쿠바 국가 개관

(서울=연합뉴스) 박영석 기자 = 한국과 쿠바는 1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양국 유엔 대표부가 외교 공한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공식 외교관계를 수립했다.
zeroground@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dhlee@yna.co.kr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40218011700001?section=international/al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68 美, '주한미군 시설공사 입찰 담합' 한국인 1명 추가 기소 Vyvy 2024.03.07 98
1867 바이든, 7일 첫 임기 마지막 국정연설…'고령 논란' 불식 주목 Vyvy 2024.03.07 68
1866 美 본예산 일부 하원 가결…8일까지 상원 통과해야 셧다운 면해 Vyvy 2024.03.07 1133
1865 "마지막 빙하 지켜라"…베네수엘라 '특수 이불' 덮는다 Vyvy 2024.03.07 261
1864 고립주의 기우는 美…23%만 "세계문제 해결에 더 적극 역할해야" Vyvy 2024.03.07 635
1863 "과학·기술, 위기에"…68명의 노벨상 수상자 밀레이에 서한 Vyvy 2024.03.07 101
1862 파월 "공급 부족이 미국 주택시장의 구조적 문제" Vyvy 2024.03.07 1048
1861 日언론 "징용해법 과제 남아…총선서 與 지면 비판 강화될 수도" Vyvy 2024.03.07 80
1860 '인도적 참사 막자'…유엔 팔난민기구에 각국 다시 원조 나설듯 Vyvy 2024.03.07 1456
1859 후티 공격에 화물선 선원 3명 숨져…첫 민간인 사망(종합2보) Vyvy 2024.03.07 581
1858 북핵 위기의 시작…'IAEA 안전조치' 이행과 북한 Vyvy 2024.03.07 387
1857 '촬영장 총격' 영화 무기관리자, 과실치사 유죄…"러시안룰렛" Vyvy 2024.03.07 1142
1856 日, 中견제행보 확대…외무 이어 방위상도 태평양 섬나라와 회의 Vyvy 2024.03.07 922
1855 美해안경비대가 中어선에 올라 단속을…태평양 섬나라서 무슨 일? Vyvy 2024.03.07 123
1854 연일 악재에 몸살 테슬라 주가, 금주 10%↓…시총 10위권 밖으로 Vyvy 2024.03.07 515
1853 지하철 범죄와의 전쟁…뉴욕주, 방위군 750명 투입해 가방 검사 Vyvy 2024.03.07 327
1852 그래도 트럼프? 차라리 바이든?…헤일리 표심 캐스팅보트 부상 Vyvy 2024.03.07 154
1851 中 보란 듯…대만, 해공군 합동훈련 이어 연례 한광훈련도 늘려 Vyvy 2024.03.07 761
1850 미국 무슬림 72% "바이든의 가자전쟁 정책에 반대" Vyvy 2024.03.07 814
1849 더는 2인자는 없다…'시진핑 통제 강화' 中 국무원 기본법 개정 Vyvy 2024.03.07 1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153 Next
/ 15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