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조회 수 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년 만에 월간 재정흑자 달성했으나, 중산층과 서민들 고통 커져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부에노스아이레스=연합뉴스) 김선정 통신원 = 고물가와 불경기로 시름하는 아르헨티나의 빈곤율이 57.6%로 20년 만에 최악의 수치를 기록했다고 현지 언론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카톨릭대학(UCA) 산하 아르헨티나 사회부채 관측소의 '아르헨티나 21세기: 만성적 사회부채와 증가하는 불평등. 전망과 도전' 보고서를 인용한 현지 언론은 빈곤율이 2023년 12월 49.5%에서 2024년 1월 57.4%로 상승했다고 일제히 전했다.

UCA의 보고서에 따르면, 빈곤율 상승은 지난 12월 극우 자유경제 신봉자인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 취임 후 시행된 현지화 50% 이상 평가절하가 식료품 가격과 물가 전반을 급등시켰기 때문으로 지목됐다.

UCA 측은 아르헨티나 인구의 57.6%인 약 2천7백만명이 가난하고, 이 중 15%는 극빈층에 해당한다며 여기에는 물가 급등 외에 가계 수입의 문제도 반영돼 있다고 지적했다.

 

UCA 사회부채 관측소 아구스틴 살비아 이사는 "이는 2004년도에 기록한 54.8% 이후 2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라며 "당시는 빈곤율 수치가 점차 낮아지면서 2001∼2002년 경제위기에서 탈피하는 단계에 나타난 수치지만 이번 수치는 정부의 경제 프로그램이 성공하지 못하면 (경제 붕괴에) 진입하는 단계에서 상승하는 수치라는 점이 다르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인플레이션 문제가 빠르게 해결되면 안도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우리는 사회적 재앙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고 라나시온이 전했다.

밀레이 정권 취임 이후 가장 경제적으로 고통을 받는 계층은 정부의 지원금을 받지 않는 중산층과 일부 서민층이며, 정부 보조금을 받는 사회 취약층도 이를 비켜가진 못한 것으로 보고서에 나타났다.

밀레이 정권 취임 이후 12월 물가상승률은 전년 대비 211.4%로 세계 최고를 기록했고, 12월 월간 물가상승률 25.5%, 1월 월간 물가상승률 20.6%로 취임 2개월 만에 누적 물가상승률은 51%가 됐다.

UCA의 빈민보고서의 빈곤율 수치가 발표되자 밀레이 대통령은 개인 SNS에 빈곤율은 "카스타(기득권, 기성정치인들)의 유산으로 아르헨티나 국민 10명 중 6명은 가난하다"며 국민이 변화를 위해 투표한 만큼 이를 이루기 위해 노력할 것임을 시사했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지난 1월 12년 만에 월간 재정 흑자를 기록했다. 밀레이 대통령은 흑자 달성을 자축하면서 "재정 균형에 협상은 없다"며 강한 정부예산 긴축 의지를 보였다.

하지만, 로베르토 카차노스키 경제학자는 "재정 흑자 달성은 중요하지만 이를 이루기 위해 사회가 어떤 고통을 감내해야 하는지도 중요하다"면서 "급등하는 물가에 은퇴자 연금을 동결시키고 각종 사회 취약층 보조금을 삭감하면서 이룬 재정 흑자가 지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 의문이다"라고 TN 시사 프로그램에서 말했다.

경제전문가들은 전기세, 가스세, 대중교통 등 각종 대규모 공공요금 인상이 예고된 오는 3월과 4월이 가장 혹독한 시기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빈곤율은 최대 60%까지 오를 것으로 예측했다.

sunniek8@yna.co.kr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240219001200009?section=international/all


  1. 타이완 기업, 양안 긴장에 지난해 대중투자 39.8% 급감

    Date2024.02.19 ByVyvy Views814
    Read More
  2. 하와이 방문객에 1인당 25달러 관광세 추진

    Date2024.02.19 ByVyvy Views531
    Read More
  3. 헝가리, 미국 의원들 문전박대…스웨덴 나토 가입 ‘몽니’

    Date2024.02.19 ByVyvy Views41
    Read More
  4. 파이낸셜타임스 “EU, 애플에 반독점법 첫 과징금 부과할 듯…약 7천억원”

    Date2024.02.19 ByVyvy Views107
    Read More
  5. 안보리 ‘가자 휴전요구 결의’ 이번 주 표결…미국, 거부권 시사

    Date2024.02.19 ByVyvy Views381
    Read More
  6. 트럼프 ‘바이든이 푸틴…나는 탄압받는 나발니’ 주장

    Date2024.02.19 ByVyvy Views307
    Read More
  7. 지난해 외국기업 중국 직접투자 44조 원…30년 만에 증가액 최저

    Date2024.02.19 ByVyvy Views1395
    Read More
  8. ‘세계 최대 1일 선거’ 인도네시아, 투표관리원 23명 과로사

    Date2024.02.19 ByVyvy Views26
    Read More
  9. 증시 강세론자들, '급등' 美기술주 대신 유럽 주식으로 눈 돌려

    Date2024.02.19 ByVyvy Views393
    Read More
  10. 파푸아뉴기니서 산악지역 부족 간 유혈 충돌…"60여명 사망"

    Date2024.02.19 ByVyvy Views23
    Read More
  11. 中 첫 여객기 C919, 첫 해외 나들이…싱가포르서 연습 비행

    Date2024.02.19 ByVyvy Views39
    Read More
  12. 태국·캄보디아, 접경지 대기오염 대응…농작물 불법 소각 단속

    Date2024.02.19 ByVyvy Views752
    Read More
  13. 中공안부장, 美국토안보장관에 "中 유학생 부당 조사 중단하라"

    Date2024.02.19 ByVyvy Views213
    Read More
  14. 中왕이 "위구르 집단학살은 터무니없는 거짓말…직접 가서 보라"

    Date2024.02.19 ByVyvy Views26
    Read More
  15. 도쿄대, 2027년 학·석사 5년제 과정 신설…세계 수준 인재 육성

    Date2024.02.19 ByVyvy Views38
    Read More
  16. 아르헨 밀레이 취임 후 빈곤율 57.6%로 상승…20년 만에 최악

    Date2024.02.19 ByVyvy Views55
    Read More
  17. '반기문 다큐' 베를린서 공개…"지도자들에게 메시지 되길"

    Date2024.02.19 ByVyvy Views34
    Read More
  18. '친트럼프' 美 의원 "나발니 사망 관련 러 테러지원국 지정해야"

    Date2024.02.19 ByVyvy Views45
    Read More
  19. "네타냐후, 아랍계 라마단 성지방문 제한 결정…일부 각료 반대"

    Date2024.02.19 ByVyvy Views221
    Read More
  20. 뉴욕타임스 "'트럼프 브랜드'가 오히려 부동산 가치에 악영향"

    Date2024.02.19 ByVyvy Views87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153 Next
/ 153
CLOSE